1.4후퇴 당시 강화읍 갑곶리 갑곶나루터와 옥계갯벌에서 우익자생단체인 강화향토방위특공대에 의해 부녀자와 노약자 등 300여명이 학살당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7일 ‘갑곶돈대 유족회’ 서영선 회장(63·시인·서울 강서구 화곡동)은 한국천주교 강화성당에서 열린 ‘제1회 강화 갑곶돈대·옥림갯벌 양민희생자 합동위령미사’에서 이같이 밝히고 앞으로 피해자 유족 찾기와 함께 강화군 등에 위령비 건립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92년부터 강화 양민 학살 진상규명과 유가족 찾기에 나섰던 서씨는 “전후 49년이 지난 현재까지 무고하게 희생됐던 할머니와 어머니, 1살박이 동생을 비롯한 300여 양민의 억울한 죽음과 유족들의 한을 달래고 용서와 화해의 삶을 누리기 위해 미사를 열게 됐다”고 말했다.
서씨는 “1.4후퇴 당시 강화향토방위특공대원들이 이북에 부역했다는 이유로 자신의 가족을 비롯한 주민 300여명을 강화읍 관청리 소재 곡물창고에 가둬놓은뒤 3일간 하루 10∼20명씩 60여명을 갑곶나루터와 옥림갯벌로 끌고가 총으로 무차별 학살했다” 며 “이같은 사실은 당시 특공대원으로 생존해 있는 김모씨(72·강화읍 관청리)로 부터 들었다” 고 말했다.
서씨는 또 1.4후퇴를 계기로 배편을 통해 고향으로 돌아오던 주민들을 향해 무차별사격해 250여명 이상이 죽었다” 고 주장했다.
서씨는 “용서와 화해를 위해 앞으로 당시의 상황을 증언해줬던 김씨와 유가족과의 만남을 주선하는것은 물론, 매년 갑곶나루터와 옥계 나루터에서 야외 합동위령 미사를 지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종만기자 kj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