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날 선거에 출마했던 사람들은 기분 나쁘겠지만 대다수 기권자들은 찍을 사람이 없어서 그랬었다고 말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찍어야 할 후보자가 마땅치 않아 기권을 하기는 했으나 국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해서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고 한다.
투표하지 않은 사람은 현실정치를 비난할 권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일 수록 더욱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나는 이번에 출마한 후보가 전부 싫다”는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권리가 유권자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즉 투표용지에 후보자 이름을 나열한 다음에 ‘전부 싫다’는 칸을 하나 더 만들어 거기에 찍을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이다.
그리고 투표 결과 ‘전부 싫다’의 표수보다 득표 수가 적은 후보자는 일정기간 동안 피선거권을 박탈하거나 제한하자는 것이다. 또 국회 및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 ‘전부 싫다’의 표 수가 1위가 되면 그 지역은 의회에 대의원을 못내게 하는 불이익을 준다. 지방자치 단체장선거에서 ‘전부 싫다’가 1위가 된 경우에는 중앙정부가 임명권을 갖게 하여 무책임하고 감정적인 투표행위에 제동을 건다.
대통령 선거의 경우 만일 ‘전부 싫다’가 1위가 되면 입후보했던 사람은 전부 실격되고 새로운 입후보자들로 재선거를 치른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럴듯 하고 일리가 있다. 기성개념에 굳어 버린 계층에서는 피선거권의 침해라고 하겠지만, 오죽하면 유권자들이 이러한 생각을 하겠는가.
국회의원이건 지방의회의건, 심지어 대통령이건 ‘후보자 모두가 싫다’는 칸이 투표용지에 하나 더 만들어진다면 엄청난 숫자의 거부권이 행사될 게 분명하다.
16대 총선에 뜻을 둔 사람들은 ‘전부 싫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유권자가 많음부터 먼저 알고 출마채비를 갖춰야 한다./청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