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2사단장 파주 폭발물소동 관련 인터뷰

지난 4일 파주 미군부대 폭발물 소동과 관련, 미2사단장 로버트 F.디즈는 첩보를 입수하자마자 한미연합사에 이 사실을 알리고 600기무대와 파주경찰서에도 통보했다고 밝혀 그동안 미군이 자국의 병사들만 대피시키고 한국측에는 통보조차 않았다는 각종 언론보도와는 상반되는 주장을 했다.

디즈 사단장은 지난 7일 오후 5시30분께 미2사단 영내 사단장실에서 가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한미간의 연락체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으며 매우 적절하고 신속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파주 폭발물 대피소동이 다행스럽게 소동으로만 끝났는데.

△아주 긴박한 상황까지 연출됐으나 큰 사고 없이 마무리 돼 다행이다. 이번 기회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한미간 공조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 생각한다.

-폭파설이 한국측에 보고된 경로는.

△지난 4일 오전 11시 미국 FBI로부터 첩보소식을 듣었을 당시 한미 연합사령관과 미8군사령관은 미2사단 영내를 방문중이였기 때문에 이 사실이 곧바로 보고됐으며 한국군 연합사령관에게도 연락이 취해졌다. 이때부터 한미간의 공조체제가 이뤄졌으며 오후에는 한국군 기무부대와 파주경찰서 등에 폭파설이 통보됐다.

-미군의 대피 경위는.

△이날 오후내내 폭발설에 대한 첩보 자체가 매우 불확실했기 때문에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밤 9시부터 캠프 에드워드 비전투요원들을 대피하기 시작했으며 잔류 장병들은 계속 조사에 임했다.

-파주군민에게 하고 싶은 말은.

△한마디로 말하면 중요한 것은 상호 신뢰하는 마음이다. 불확실한 상황 발생시 한미간에 서로 믿고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파주시장이 한미간의 공조속에서 주민이동을 결정한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하고 또한 신속했다고 생각된다.

-미군측은 대피를 서두르며 한국측에는 통보조차 않았다는 언론보도에 대한 견해는.

△군인들과 민간인들간의 생각하는 이해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번 상황에는 ▲한미공조로 ▲적시에 ▲적절하게 ▲피해없이 라는 4가지의 원칙을 전제로 임했다. 공조체제는 잘 이뤄졌으며 군책임자로서 모든 책임을 다했다고 본다.

/의정부=천호원·조한민기자 hwchou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