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최근 공공성의 시비에 휘말리고 있는 수원의료원의 민간위탁을 1년간 유보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10일 “수원의료원의 경영구조개선을 통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해결키로 했다”며 “경영구조개선이 이뤄진 뒤에도 적자가 날 경우 1년뒤 민간위탁키로 했다”고 밝혔다.
도의 이같은 결정은 최근 수원의료원을 비롯해 18개 시민단체들이 수원의료원의 민간위탁 방침에 대해 의료정책의 공공성 포기라며 반발하고 나서자 임창열 경기지사와 수원의료원 관계자의 합의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당초 민간위탁 신청자였던 아주대병원이 위탁제안서에 노조활동의 경우 극한상황에 따른 파업 등은 3년간 유예하되 이를 노조와 합의하겠다고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원의료원 직원들의 대대적인 반발에 도가 양보한 점도 민간위탁을 1년간 유보하게 된 경위라는 것이 도 관계자늬 설명이다.
도는 이에 따라 수원의료원장을 조만간 교체한 뒤 대대적인 경영구조개선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수원의료원장에는 광명시 K소장, 권선구 K소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관련 민간위탁을 반대했던 수원의료원 관계자들도 “의료원의 공공성 제고와 경영구조개선을 위해 민간위탁을 보류한다면 직원 스스로 의식개혁을 통해 좀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정부의료원은 자체 경영구조 개선을 통해 지난해 88억여원의 의업수입을 기록해 4천241만여원의 단기 순이익을 내는 등 흑자로 돌아섰고 환자수도 98년 12만여명에서 지난해 15만여명으로 늘어났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