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천년을 맞아 펼쳐질 농업은 지식산업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농업을 일상생활의 변화와 식량문제 해결, 환경보호 등 지식기반 산업으로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농업은 지식과 정보라는 요소가 접목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산업으로 탈바꿈 되며 컴퓨터를 이용한 사이버 농업, 환경친화적 농업이 확산되고 있다.
사이버농업은 앞으로 품종선택에서부터 재배관리·수확·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가 인터넷으로 집중된다.
안방에서 다른 나라 농업인의 재배장면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전자우편 주문을 통해 새품종을 구입하는가 하면 생산한 농산물을 많은 사람에게 판매하게 될 것이다.
이같은 정보화 시대를 맞아 현재 국내에서 개설된 농업관련 홈페이지와 인터넷를 통한 무역거래, 영농정보 등 각종 정보에 대해 살펴본다.
▲농림부와 농수산물 유통공사는 농수산물 전용의 인터넷 무역거래 알선 시스템인 ‘아그로 트레이드(Agro Trade)’를 개발, 1월1일 전세계 바이어를 대상으로 시험가동에 들어갔다.
올 3월부터 본격 운영되는 이 시스템은 인터넷(www.agrotrade.net)을 통해 국내 농수산물 수출업체와 해외 바이어가 사이버 공간에서 거래를 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무료로 제공되며 한국의 농수산물 수출상품이 수록된 ‘전자카탈로그’와 한국의 농업과 식문화, 수출입 기본통계 등이 영어로 제공되는 ‘애그리컬처 비즈니스’사이트가 있어 외국 바이어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홈페이지로 개설로 인해 앞으로 시장조사를 위해 외국에 나가거나 접대비를 들여 외국 바이어를 만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영세 농수산물 수출업체는 수출확대의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수출업체와 생산농가들에 홈페이지를 만들어주는 한편 전자메일 주소록이 가능한 무역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영문 및 일문 번역문을 실어 외국어에 취약한 영세업체들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농업연구 정보와 관련된 사이버 이용자가 늘어나고 21C 지식정보화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연말 농진청 인터넷 홈페이지(www.rda.go.kr)를 확대 개편했다.
지역농업정보, 농업기술전문 데이터베이스 등 농업연구 정보를 70개 항목 2천700만건으로 늘렸으며 농업인들이 이용편의를 돕기 위해 검색경로를 최소화하고 검색시간이 오래 걸리는 각종 기관 소개 화면은 대폭 줄이기로 했다.
▲농림부는 농촌 현장체험이 부족한 도시 어린이들이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공간에서 농촌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홈페이지(www.maf.go.kr)에 ‘어린이 농업교실’코너를 개설하고 있다.
농업·농촌 자연과 인터넷 기술을 접목시켜 어린이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친근한 디자인으로 구성했다.
사이버농업교실에는 우리농업의 변천과정과 주요 농작물의 재배과정과 파종, 물주기, 비료주는 방법, 농촌 전래동화와 곤충이야기 등이 실려있다.
▲농업관련 단체들의 국내외 주요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0.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http://www.rda.go.kr)=품질인증, 원산지표시제도, 우리농산물과 수입농산물 구별 등.
0. 국립식물검역소(http://www.npqs.go.kr)=수출·입 식물검역, 발견 병해충 정보, 주요국 식물검역 제도 등.
0. 농협중앙회(http://www.nacf.co.kr)=하나로 홈쇼핑, 은행업무, 농업박물관, 우리 농산물 등.
0. 농수산물유통공사(http://afmc.co.kr)=사이버전시관, 박람회, 농수산수출상품 등, 농수산물 무역정보(KATIA망제공정보.http://www.kati.net)
0. 한국농촌경제연구원(http://www.krei.re.kr)=관측 정보, 문헌 정보 등.
0. 산림청(http://www.foa.go.kr)=임업정책, 산림환경, 임업기술 등
0. 국립수의과학검역원(http://www.nvrqs.go.kr)=동물질병 문의, 질병발생 정보 등.
0. 축협중앙회(http://www.nlcf.co.kr)=한우리정보, 목우촌, 금융업무 등.
0. 농림기술관리센터(http://www.arpc.re.kr)=농림기술개발 연구과제의 관리, 국내외 농업기술 동향 분석, 농업기술정보 등
0. 세계식량농업기구(FAO http://www.fao.org)=61년부터 최근까지의 201개 국가의 농축산물 1천500개품목에 대한 무역정보를 비롯해 세계 농업센서스, 비료사용 통계 등.
0. 세계식량계획(WFP http://unicc.org/wfp)=개발도상국의 식량수급 동향과 세계식량계획의 구호활동에 관한 정보 주 1회제공 등.
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http://www.oecd.org)=농업 및 경제에 관련된 출판물 검색, 회원국에 관한 정보입수 등.
0. 미국 농무부(http://www.usda.gov)=농산, 임산, 축산, 수산, 동식물검역 등 전반적인 정보 및 생산 무역 등.
0. 일본 농림수산성(http://www.maff.go.jp)=농업기본통계, 정책자료, 농림수산성뉴스, 관련산하기관 및 단체 연결 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