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하수처리장 건설공사와 관련 턴키(설계·시공 일괄발주)방식 입찰 범위를 1월부터 확대시행에 들어가자 하수처리전문 중소업계가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기계공업협동조합연합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환경부가 연초부터 하수처리시설 관련 턴키입찰 방식을 기존 5만t에서 2만t이상으로 확대시행에 들어가자 중소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해야 할 정부가 대형 건설업체의 손을 들어줬다며 중소업계가 강력반발하고 있다.
현재 1일 2만t미만의 처리용량을 갖는 하수처리장은 전국 108개소로 2만t이상 69개소 보다 숫자상으로는 많으나 총시설용량으로는 전체의 9.4%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2만t이상의 하수처리용량 시설에 대해 턴키입찰을 실시할 경우 전체 환경부 예산의 75.5%가 여기에 해당돼 중소업계는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업계는 특히 하청 도급마저도 일부 소수의 대기업 협력업체만이 수급이 가능해 질 전망이어서 환경설비 전문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와관련 업계 관계자는 “턴키입찰 확대는 대형 건설업체에 모든 책임을 맡기면 된다는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입찰평가시 기술 및 가격 보다는 로비능력에 좌우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전문 중소환경업체에서 개발한 신기술의 참여가 원천봉쇄돼 환경 산업의 국가경쟁력이 저하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저가의 하도급 계약 및 납품대금 지연 등 중소업체의 설땅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