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유아기 시력관리 중요

“어린아이의 시력관리, 빠를수록 좋습니다.”

자칫 어린이의 시력관리를 소홀히 하다보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 그렇게되면 평생 고생하도록 부모들이 방치한 셈이 된다.

약시, 사시 등은 어린시절에 발생한다. 사시는 2살이전에, 약시는 7살이전에 빨리 발견해 치료해 주는 것이 좋다.

약시란 눈에 특별한 병이 없으면서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의 시력이 정상이 아닌 상태를 말한다. 안경을 쓴다해도 정상적인 시력이 나오지 않는다. 약시는 시력이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에 굴절이상, 사시, 백내장, 안검하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시신경세포가 적절한 자극을 받지 못해 생긴다. 증상은 특별한 것이 없다.

문제는 어린아이들의 의사소통이 원활치 못하다는데 있다. 다시말해 자신의 증세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나 주위사람들의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보통 눈을 비비거나 찡그리거나, 책이나 TV를 지나치게 가까이서 보거나, 머리나 눈이 아프다며 찡찡거리기도 한다. 일단 이런 증상을 보이면 약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생후 6개월이나 3-4세가 되면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

약시의 치료중 가중 중요한 점은 시력발달이 가능한 시기인 7살이전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며 시력발달이 끝난 뒤에는 이를 발견해도 마땅한 치료방법이 없다. 조기검진이 그만큼 중요하다.

사시는 양쪽 눈의 시선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일컫는다. 즉 한 물체를 주시하고 있을 때 한쪽 눈은 그 물체를 보고 있으나 나머지 눈은 다른 곳을 보고 있는 상태. 사시는 성인이 된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 유아, 소아기에 발생한다. 두눈이 동시에 물체를 주시할 수 있는 기능은 늦어도 생후 6개월이되면 완전하게 갖춰진다.

사시는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내사시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외사시, 위로 올라가는 상사시로 나눌 수 있다. 치료방법은 사시의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나 대부분 수술교정. 한번의 수술로 80-90%정도 교정된다. 심한 원시로 인한 조절성 내사시는 수술로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시안경을 착용, 사시를 교정한다.

생후 6개월이 지나서도 눈의 움직임이 이상하거나 양쪽 눈의 시선이 한곳으로 모아지지 않으면 사시검진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어린아이의 시력은 보통 6-7세가 돼야 완성이 된다. 태어나서 2주일쯤 지나면시력이 0.05 정도이며, 3살이 되면 0.5, 4-5살에는 0.7, 6-7살이 되면 정상시력인 1.0이 된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