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선거부 분구확실 연합공천에 관심집중

경기도내 7곳의 선거구 분구가 확실해지면서 수면 아래로 잠복했던 새천년 민주당과 자민련간의 연합공천이 새로운 관심사로 재부상하고 있다.

특히 각 당의 후보자들은 연합공천을 위해 자신의 지역구를 포기하고 새로운 선거구로의 이동까지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공동여당의 연합공천은 지난 6일 청와대에서 있었던 ‘DJT 회동’에서 ‘철저한 공조’방침을 밝혔음에도 시쿤둥한 반응을 보인데 이어 국민회의 이인제 당무위원이 연합공천 반대를 천명, 수면 아래로 잠복했었다.

그러나 여야의 선거법 협상을 통해 도내 7곳의 분구가 이뤄지면서 연합공천을 놓고 각당의 이해득실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는 것.

현재 기존 선거구 38석을 기준으로 할 경우 국민회의 19명, 자민련 8명(전국국 각1명 포함)으로 수치상 3대 1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일단, 분구가 확실한 7곳 포함 총 45곳을 놓고 두 당의 입장은 5대 5의 배분을 천명하지만 민주당은 8대2 정도로, 자민련은 6대 4정도를 마지노선으로 파악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7대 3 선에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회의 L 의원은 “도내에서 자민련의 득표력을 볼때 현역 의원 포함 10석 정도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자민련 L의원은 “최근 우리당에 입당한 이한동 총재권대행의 파급효과를 감안, 15석 이하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경우 자민련의 현역 8명외에 최소 2명, 최대 7명의 연합공천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른 후보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해 4개 선거구로 되는 고양은 각 후보군들의 교통정리가 이뤄졌다는 설이 나돌고 있으며 성남은 분당의 분구를 겨냥, 기존 위원장의이동설이 흘러나오면서 민주당 입당설이 돌던 K씨가 한나라당으로 돌아서기도 했다.

또한 시흥과 안양 등 일부 지역 후보들은 현역의원의 무조건적인 연합공천설에 대해 강한 반발을 하고 있으며 수원 권선과 의정부 지역은 자민련의 위원장 행보를 주시하며 득실을 계산하고 있다./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