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기초한자 1천800자중 일부 교체

지난 72년 제정된 교육용 기초한자 1천800자 가운데 게(憩)·탁(琢) 등 거의 쓰이지 않는 79자가 내년부터 걸(乞)·광(狂)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한자로 교체될 전망이다.

한국한문교육학회(회장 김상홍·단국대교수)는 23일 교육부 연구용역 의뢰를 받아 우리나라와 북한(1천500자), 일본(1천945자), 중국(2천500자), 대만(4천808자)의 기초한자를 비교, 빈도수에 따라 이를 점수화한 뒤 현행 1천800자를 새로 조정한 내용의 연구보고서를 교육부에 제출했다.

교육부는 이를 토대로 공청회 등 여론수렴을 거쳐 오는 8월 새 기초한자를 공표, 내년 1학기부터 학교교육에 적용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현행 1천800자 가운데 79자를 교체하되 전체적으로 1천800자를 유지하는 방안과 1천800자 중 16자를 빼고 216자를 추가, 2천자로 확대하는 방안, 또 한문교육을 현재의 중·고교에서 초등학교까지 확대 실시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우선 1천800자를 유지할 경우 ▲휴게실(休憩室), 절차탁마(切磋琢磨)등 일부 단어 외에 거의 쓰이지 않는 ‘쉴 게’(憩)나 ‘쫄 탁’(琢) 등과 ▲박정희(朴正熙), 경기도(京畿道) 등 인명·지명에만 나오는 ‘빛날 희’(熙), ‘경기 기’(畿) 등 ▲인칭대명사인 ‘나 오(吾)’, ‘너 여’(汝) ▲또 숫자인 ‘한 일’(壹), ‘두 이’(貳) 등 79자는제외된다.

대신 걸식(乞食)과 격년(隔年), 견인(牽引), 광풍(狂風), 예금(預金), 재벌(財閥)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빌 걸’(乞), ‘막힐 격’(隔), ‘끌 견’(牽), ‘미칠 광’(狂), ‘미리 예’(預), ‘문벌 벌’(閥) 등이 새로 들어간다.

또 상용한자를 2천자로 늘릴 경우 게(憩) 등 16자를 빼고 걸(乞)등 216자를 새로 넣게 된다.

앞서 어문정책을 맡고 있는 문화관광부 산하 국립국어연구원도 지난해 기초한자가운데 44자를 교체하고 200자를 추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1천800자)와 ‘국어생활용 한자’(200자)로 이원화하는 방안을 교육부에 제출했다.

한편 연구팀이 일반인과 한문교사 등 5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80.1%였으며 “교육용 기초한자가 1천800자로는 부족하며 추가해야 한다”는 견해가 51.6%로 절반을 조금 넘었다.

상용한자는 지난 51년 1천자가 처음 제정, 공표됐으며 57년 신인정 한자 300자가 더해져 1천300자로 늘어난 뒤 68년 한글전용정책으로 폐기됐다 72년 다시 교육용기초한자 1천800자가 제정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