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은 첫니가 나기 시작하는 생후 6개월부터 치아 관리에 세심한 신경을 써야한다.
아기의 윗니에 누런 반점이 보이면 서둘러 치과를 찾는 것이 좋다. 사탕과 같은 단 간식을 많이 먹지 않기 때문에 아기가 충치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엄마들이 많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아이가 즐겨먹는 우유나 유아용 주스등에도 당분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3세 이하의 영유아들이 치과를 찾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치아우식증’으로 불리는 충치 때문이다. 구강내 세균들이 음식물내의 당분을 분해하면서 생긴 산이, 치아를 부식시켜 충치가 생기기 때문에 설탕을 포함한 단음식의 섭취는 충치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우유병 우식증’은 우유병을 수시로, 그리고 별다른 제한없이 사용하는 3세이하의 영유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충치의 한 형태이다.
즉 아기가 울거나 보챌 때마다 우유병을 물리거나 밤에 우유병을 물린 채로 잠을 재우는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아기가 원할 때마다 젖을 물리는 습관이 있다면 모유를 먹이는 경우에도 안심해서는 안된다.
‘우유병 우식증’의 진행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자칫 시기를 놓치면 치료조차 어려워지고 결국 치아를 빼야하는 상태에 이르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우선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은 부모의 입안으로부터 뽀뽀 등의 접촉을 통해 아기에게로 전달되는 것이므로 이가 나기전부터 아기와 엄마 모두 입안을 깨끗이 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입안에 우유나 음식찌꺼기나 남아있지 않도록 젖을 먹인후에 거즈등을 사용해 하루에 두번이상 입안을 깨끗이 닦아주는 것이 좋다. 이가 난후에는 치아의 표면을 청결하게 해주어야 하며 아이가 싫어하지 않는다면 어린이용 칫솔과 불소치약을 소량씩 사용해볼 수도 있다.
우우를 먹일때 주의사항은 ▲우유수유시 모유를 먹일때처럼 아기가 똑바른 자세로 삼킬 수 있도록 안고 먹이고 ▲우유가 줄줄 흐르지 않도록 젖꼭지의 구멍이 작은것을 사용, 아기가 스스로 혀와 빰, 턱을 사용해 우유를 빨 수 있도록 해주고 ▲규칙적 간격으로 수유하고 특히 자기전에 우유병을 물고 자지 않도록 해야한다. 어쩔 수 없이 우유병을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우유대신 보리차나 물을 담아주는 것이 좋다.
또 ▲매일 2회이상 특히 수유후와 자기전에 이를 닦아주고 ▲생후 6개월을 전후해 이유식을 먹이기 시작하며 ▲만 1세경부터 가급적 우유병을 사용하지 말고 우유나 음료수를 마실 때에도 컵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