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낭만주의 음악과 한국의 전통 춤, 소리가 한 무대에서 만난다.
오는 2월 3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소리가 춤을 부른다’란 제목으로 열리는 연주회가 그 무대. 지난해 11월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렸던 국악인 이호연의 공연에 이은 ‘한국의 소리가 바뀐다’ 시리즈 두번째 자리다.
경기민요를 라틴재즈나 아카펠라같은 장르와 결합한 크로스오버로 선보였던 첫번째 공연만큼 이번 음악회도 그 레퍼토리가 파격적이다.
색동어린이합창단의 동요모음과 강강술래로 시작된 무대에선 헝가리안 비르토우쉬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제5번’과 비발디의 ‘사계’중‘겨울’, 인간문화재 이생강과 임경주의 ‘대금과 가야금 산조’, 그리고 명창 안숙선의 ‘판소리’ 등이 이어진다.
다음 무대는 이번 공연의 하이라이트인 유럽의 낭만적인 체임버 연주와 한국 춤의 첫 만남. 비르토우쉬 오케스트라가 헝가리 작곡가 레오 레이너의 ‘디베르티멘토 제1번’을 연주하는 가운데 무용가 정명주가 현대무용이 아닌 한국의 춤사위를 풀어내는 것.
이어 2부는 유럽 음악과 한국문화의 접목을 시도하는 시간으로 먼저 비르토우쉬오케스트라와 한국의 샘믈국악연주단, 그리고 이생강과 임경주가 ‘진도아리랑’(지원석 편곡)을 연주하고 정명자 한국예술연구원 무용단이 우리 춤사위로 흥겨움을 더한다.
비르토우쉬 오케스트라와 샘믈국악연주단의 반주로 노래하는 소리꾼 장사익의‘찔레꽃’, 대중가수 안치환의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안숙선의 ‘남도민요 모음곡’ 등도 색다른 감상기회.
연주회는 전 출연자가 한 데 나와 ‘‘남누리 북누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공연하는 것으로 그 끝을 맺는다. 문의 (02)786-8886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