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분야 프리랜서제 긍정적 시행은 유보적

건설기술자와 고용자들은 건설분야에 프리랜서제를 도입하는데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정작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고용하는데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건설기술연구원 박형근 선임연구원이 최근 발주기관, 학계, 연구기관, 건설기술자(피고용자) 및 고용자 3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프리랜서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5%가 필요하다(매우필요 20%, 어느정도 필요 31%, 약간필요 24%)고 응답한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5%에 그쳐 제도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프리랜서 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고용자들은 81%가 찬성한데 비해 건설기술자들은 72%로 차이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제도도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에도 프리랜서를 고용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할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이 주류를 이루었다.

고용자의 경우 프로젝트에 필요할시 프리랜서를 고용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35%가 당연히 고용하겠다, 63%는 고려해 보겠다고 답했으며 건설기술자들도 프리랜서로 활동하겠다는 응답은 26%인데 비해 고려해 보겠다는 응답은 63%로 나타나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프리랜서 도입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특수공종 전문기술인력의 확보 용이(31.3%), 기술자들의 기술수준 향상(27.2%), 고비용구조 개선(25.7%) 등을 주로 꼽았다.

이밖에 문제점으로는 임시직으로 인한 소속감 상실(19.1%), 기술자간 불균등한 기회(19.1%), 능력평가의 어려움(13%), 고용불안(11.6%) 등을 주로 지적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