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중이염 원인과 치료방법

잘 놀던 아기가 갑자기 몹시 아픈 표정으로 울면 엄마들은 당황하기 쉽다.

이럴 때는 귀주변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급성중이염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급성중이염은 고막 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겨울철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이 질환은 주로 코와 귀를 연결하는 통로인 이관의 기능장애로 코 안의 염증이 귀로 전파돼 생긴다. 특히 유아나 소아기때 감기와 같이 잘 걸린다. 이는 어린 나이일수록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이관이 넓어 염증이 잘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급성중이염의 증상은 고열과 함께 귀가 아프고 먹먹해 잘 안들리기도 한다.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갑작스럽게 귀에서 물이나 고름이 나오면서 통증이 급격히 감소되는 수도 있다. 이는 압력에 못이긴 고막에 구멍이 생긴 경우다.

치료는 적절한 수분섭취와 심신의 안정, 진통제의 투여 등 대증요법이 도움이 되는데 항생제의 사용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고막에 구멍이 생긴 경우 항생제의 투여와 함께 귀에 넣는 물약을 함께 사용하기도한다. 또한 심한 통증과 발열시 고막을 미리 터뜨려 주기도 하는데 이때는 고막안에 있는 고름을 빼낼 수 있어 통증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급성중이염은 그동한 항생제가 발달해 대부분 완치가 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중이염으로 발전할 수 있고 드물게는 뇌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어 유의해야한다.

한편 삼출성중이염은 발열이나 통증등 염증의 증상이 없이 고막안에 물만 차있는 경우로 이관의 기능과 관계가 있다. 특히 소아가 TV를 크게 듣거나 가까이 보는 경우 의심해볼 수 있으며 소아난청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삼출성 중이염의 원인질환으로는 급성상기도염(감기), 알레르기성비염, 아데노이드 증식증, 만성부비동염(축농증), 구개열(언청이), 종양, 비행기탑승시 급격한 기압의 변화등이 있다.

치료는 점막수축제, 항히스타민제등의 약물요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만성부비동염이나 알레르기성비염등의 원인질환이 있으면 이것부터 미리 치료를 해주어야 한다. 특히 목젖뒤의 아데노이드증식으로 인한 경우 전신마취하에 아데노이드적출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약물요법을 4주이상 실시해도 호전되지 않으면 고막절개 및 환기관삽입술을 실시한다. 환기관이란 지속적으로 고막안으로 환기를 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수술방법은 고막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고막안에 조그마한 환기관을 넣어주는 것으로 외래에서 사전검사없이 10-30분내에 시술할 수 있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