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에는 한복을 정성껏 차려입고 웃어른이나 친지를 찾아가게 된다.
설한복은 역시 우아하고 단아한 고유의 전통한복이 제격이지만, 실용적이고 편하기 때문에 최근엔 생활한복을 입는 사람이 크게 늘어 각광을 받고있다.
전통한복의 경우 간결하고 파스텔 톤의 차분한 색이 유행하고 있다.
한복연구가들은 “설날 한복은 지나치게 화려한 차림보다는 자연색에 가까운 중간색조로 단아하게 입는 것이 더 돋보인다”면서 “한복은 남녀 모두 두루마기까지 갖춰 입어야 격식에 맞는다”고 조언한다.
전통한복의 멋은 여자의 경우 특히 속옷을 제대로 갖춰 입어야 맵시가 난다. 최소한 속바지와 속치마, 속적삼은 꼭 입어야 한다. 동정니 맞춤이나 고름매기, 버선신기 등도 신경을 써야한다.
또 수수한 한복이 유행하는 만큼 장신구는 요란하지 않은 것이 어울린다. 금단추 같은 것은 피하고 다소 화려하다 싶은 것은 차례지낼 때는 벗는다. 치마 저고리 위에 양복코트를 걸치거나 고무신 대신 하이힐을 신는 것은 금물이며, 한복차림엔 긴머리를 산만하게 늘어뜨리기 보다는 틀어 올리는등 단정하게 손질한다.
남자들의 경우 바지 저고리에 조끼와 마고자를 입은 다음 두루마기를 갖춰 입어야 옷차림 예절에 어긋나지 않는다. 양말은 무색을 신는게 좋다. 대님을 맬때는 리본처럼 양쪽으로 고를 만들지말고 고를 하나로 접어야 하는데 매듭이 안쪽 복사뼈 위에 놓이게 맨다.
최근 평상시에도 생활한복을 즐겨 입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는데 설날에 가족끼리 생활한복을 함께 입는 것도 보기 좋다.
생활한복은 전통의 미를 현대적으로 살려낸데다 활동성이 뛰어난게 장점인데, 입기 편하고 일하기에도 불편함이 없으며 세탁이 간편하고 디자인도 여러가지여서 멋있게 입을 수 있다. 바지 저고리 마고자 조끼 덮개옷 등 여러가지를 겹쳐 입을 수 있으므로 몇가지 옷으로도 수십가지의 연출이 가능한 경제적인 옷이다.
생활한복은 활동량이 많은 아이들 설빔으로도 제격이다. 자연소재에 보온성이 커서 겨울에도 좋으며, 무엇보다 옷을 통해 우리문화를 습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올 설에는 생활한복을 장만해주는게 좋다.
유의할 점은 편안한 옷이라는 인식때문에 갖춰입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생활한복도 정장이나 외출용은 두루마기 등을 제대로 갖춰 입어야 예를 갖춘 옷차림이 된다.
한복은 새옷이 아니더라도 지난해 입었던 것을 꺼내 구겨진 부분을 다리고 동정을 바꿔 달면 산뜻하게 입을 수 있다. 또 조금 오래됐어도 조금 손질하면 새옷처럼 멋있게 고쳐입을 수 있으므로 재활용하는 것도 절약의 지혜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