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은 너무 격식에 얽매이기 보다는 조상이 생전에 즐기던 음식을 정성스럽게 준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분수에 맞게 차리면 충분하다.
차례상은 지역이마 가정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차림은 비슷한데 설날에는 기제사때 올리는 뫼 대신 떡국을 올린다.
차례의 대상은 자기집에서 기제사를 지내는 모든 조상으로하여 한꺼번에 지낸다. 차례상을 차릴때 방위는 상을 어느곳에 차리든 신위를 모신 곳이 북쪽으로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상의 왼편이 서쪽 오른쪽이 동쪽이다.
기제사에서는 메(밥)와 갱(국)을 올리지만 설엔 떡국으로 대신한다. 술도 기제사에서는 세번 올리지만 차례에선 한번만 올린다. 그밖에 기제사에서는 숭늉을 올리지만 차례에서는 숭늉을 올리지 않는다.
차례상의 음식은 우선 첫줄 신위앞에 떡국을 놓는다.
시접(수저 담아두는 그릇)과 잔반(잔과 술받침대)은 떡국의 왼쪽에 놓는다.
둘째줄에는 삼적, 즉 육적 봉적(닭) 소적(두부)과 전(부침)을 놓는데 봉적대신 어적을 놓기도 한다.
셋째줄에는 육탕 어탕 소탕(채소)등 3탕을 진설한다. 배열은 어동육서(魚東肉西)로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두되 두동미서(頭東尾西), 즉 생선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굳이 3가지를 다 올릴 필요는 없다.
넷째줄 소채는 좌포우혜(左抱右醯)라 해서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를 진설한다. 그 사이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3색 나물과 간장 나박김치를 놓는다.
맨 앞쪽인 다섯째 줄에는 과일과 과자를 놓되 홍동백서(紅東白西) 동건서과(東健西果)의 원칙에 따라 밤 배 감 약과 사과 대추의 순으로 진설한다. 사과 배는 위 아래만 잘라 괴고 밤은 껍질을 벗겨 괸다.
차례상 진설법은 음양의 원리에 따른 것으로 홀수줄에는 홀수, 짝수줄에는 짝수로 음식 숫자를 맞춰놓는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