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을 체육관에서 감상하면 어떤 맛일까.
서울뮤지컬컴퍼니가 색다른 공연 하나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4월 3일부터 11일까지 무대에 올릴 ‘스펙터클 뮤지컬 2000! ‘락(樂) 햄릿’’. 이 작품은 국내 뮤지컬로는 처음으로 4천500석 규모의 체육관에서 공연된다.
뮤지컬을 연극공연장에서 체육관으로 끌어냄으로써 대중화를 꾀하겠다는 게 제작자의 의도. 연극적 장치를 가급적 배제하는 대신 라이브 공연의 요소를 대폭 도입해 관객이 단순 감상자가 아닌 참여자로 나서게 할 방침이다.
제작자는 이를 계기로 뮤지컬의 파격을 시도하겠다며 야심에 차 있다. 연극 공연장과 달리 막전·막후를 따로 두지 않을뿐 아니라 무대와 객석의 거리도 최대한 가깝게 할 방침이다. 이렇게 하면 관객 스스로 공연에 동참한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제작자는 기대한다.
공연에 쇼의 요소를 끌어들이는 만큼 출연자도 의외의 인물이 많다. 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오렌지족)씨와 가수 박미경(오필리어)씨가 무대에 올라 엔터테이너로서 즉흥성을 살린다. 김준원(햄릿), 송용진(레어티스), 김재만(호레이쇼)씨와 30여명의 뮤지컬 배우도 분위기를 한껏 달군다.
관객은 공연도중 가만히 앉아서 감상할 필요가 없다. 무대의 흥겨움에 그냥 있기 어렵다면 얼마든지 서서 춤도 추고 노래도 할 수 있다. 일종의 스탠딩 콘서트인 셈. 또 공연 도중에 공연장을 마음대게 드나들 수 있고, 객석으로 돌아다니는 상인들에게 음료수 등을 자유롭게 사먹을 수도 있다. 체육관 입구와 로비에는 디디알(DDR)기가 설치돼 쿵쾅거리며 노는 것도 가능하다.
체육관에서 공연하기 때문에 입장료도 무척 싸다. 대작 뮤지컬의 경우 보통 4만원 안팎이나 이번 공연 입장료는 1만원 내외(일반석 1만5천원, 학생석 8천원)로 낮췄다. 여기다 ‘사랑의 티킷’을 활용하면 일반인은 1만원, 학생은 3천원으로 라이브무대를 즐길 수 있다는 것.
지난해 11월과 12월 ‘록 햄릿’이란 제목으로 호암아트홀에서 이 작품을 공연했던 서울뮤지컬컴퍼니는 이번 무대가 체육관에서 마련되는 만큼 내용에도 변화를 가했다. 근친상간의 레어티스를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으로 대체하고, 선정적 유곽장면도 크게 수정하는 대신 오렌지족의 반항성은 부각시켰다. 기성세대 상징인 클로디어스와 거트루트, 폴로니어스는 영상으로 처리된다. 문의 02-562-2600.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