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위 상큼한 봄소식 봄나물

보기만 해도 상큼한 산나물. 아직 야생 산나물이 나올 철은 아니지만 비닐하우스에서 겨울을 지낸 냉이, 달래 등 봄나물들이 식품매장을 파랗게 수 놓으며 미각을 자극하고 있다.

봄은 오랜 추위로 움츠러져 있던 몸이 기지개를 켜고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기. 그러나 몸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비타민이 모자라 쉽게 피로를 느낀다. 봄의 입맛을 돋우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신선한 영양소가 듬뿍 들어있는 봄나물로 식탁을 꾸며보자.

냉이는 단백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A가 많아 피로회복에 그만이고, 겨우내 걸렸던 감기를 떨쳐버리는 데도 좋다. 쓴맛을 지닌 달래는 무기질과 비타민을 풍부하게 갖고 있어 빈혈에 좋은 데다 입맛과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한다. 향긋하고 파릇한 봄나물은 보통 알칼리성식품으로 육류의 산성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채소류에 공통적으로 많은 섬유질은 장벽을 자극해 배변을 좋게 한다.

봄나물은 그 풋풋하고 향긋한 냄새 때문에 그 자체로 입맛을 돋워 주기도 하지만 좀 더 맛을 내기 위해서는 조리를 해 새콤달콤한 맛을 내보는 것도 별미. 신선한 야채를 그대로 사용해 갖은 양념으로 버무려 먹는 것도 좋고 국을 끓여도 색다른 맛이 난다. 국에 넣는 봄나물은 대개 냉이, 쑥, 원추리 등. 들나무의 쌉쌀한 맛 때문에 맑은 장국보다는 된장국으로 끓여야 제맛이 난다.

대부분의 경우 향이 진하고 나물 색깔이 진한 것이 싱싱하고 보편적으로 상품의 봄나물이다.

냉이는 날 것으로 먹지 못하고 국으로 끓여 먹는데 이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며 일부 녹아 나온 것이라도 국물째 먹게 되니 손실이 거의 없는 셈이다. 또 비타민 A가 냉이의 입속에 많아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 A는 냉이를 먹으면 ⅓은 충당된다.

산채의 하나인 취나물은 참취의 어린잎을 가리키는 것이다. 참취는 엉거시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칼륨의 함량이 대단히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달래는 비타민 C를 비롯한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고 칼슘이 많아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알칼리성 강장식품이다. 재배한 달래는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이달말부터 대량으로 나올 예정이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