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 어떤 옷차림이 좋을까?

사회에 첫 발을 디딘 사회 초년생에게는 어떤 옷차림이 좋을까?

‘옷차림도 전략’이라는 말이 있듯이 새내기 직장인들의 이미지 메이킹은 첫 인상과 첫 출근복에서 결정된다.

첫 출근복 차림은 단정하고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대다수의 직장이나 조직이 정장 차림을 선호하는 만큼 그 회사의 직무에 어울리는 것으로 조화롭게 입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패션 전략이다. 사회 초년생 옷차림을 알아본다.

▲일반 기업체= 3버튼의 싱글 정장이 좋다. 감색이나 회색 수트에 흰색 셔츠를 입고 와인색 타이를 매면 기본적 차림이 된다. 세련된 느낌을 주고 싶다면 은은한 광택이 나는 회색이나 크림색 타이를 매면된다.

▲세일즈·마케팅 등 영업직 종사자= 대인관계가 많은 직업인 만큼 신뢰감을 줄 수 있는 감색 수트를 입는 것이 무난하다. 감색 수트에 푸른색 셔츠를 입고 요란한 넥타이보다는 잔잔한 무늬나 단색의 넥타이가 좋다. 넥타이를 짙은 청색 계열로 매치해 전체적으로 ‘톤온톤’으로 연출하면 경망스러워 보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전문직 종사자= 조직의 규율을 강조하는 일반 기업보다 옷차림이 자유로운 편이어서 어느 정도 자기만의 개성 연출이 가능하다. 허리가 약간 들어가고 바지통이 좁은 트렌디한 감색이나 보라빛이 가미된 회색수트, 유행색인 카키 수트 등을 활용해보자. 흰색이나 푸른색 셔츠를 입을 경우 넥타이에 포인트를 두면 좋다.

또 캐주얼 정장이 붐인 만큼 이지 재킷과 노타이 셔츠 차림도 연출해 볼 만하다. 세련된 표현을 위해서 ‘톤온톤’ 연출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정장 잘입기= 평소 정장을 자주 입어보지 않았던 사람은 처음 수트를 입을 경우 셔츠 속에 색이 비치는 내의를 입거나 흰 양말을 신는 실수를 범하기 쉽다. 또 핸드폰이나 전자수첩 등 소지품을 주머니 이곳저곳에 넣다 보면 금새 후줄근해 보일 수 있다.

너무 헐렁하거나 꽉 끼는 옷은 둔해보이거나 경망스러워 보인다. 직종에 따라 전략적인 소품을, 예를 들면 정보·전자업은 디지털 시계(계산, 달력 기능이 가미된 것)를, 무역업이면 더블 시계(국내 시간과 해당 나라의 시간이 같이 나타나 있는 것)를 강조해보자.

구두는 검정이나 브라운 색상이 적당하며 양말은 바지와 같은 색이나 더 짙은색깔을 신도록 한다.

조끼를 입을 경우 맨 아래 단추는 채우지 않는 게 편안해 보인다. 같은 색깔의 조끼를 입으면 전체적으로 길어보이면서 안정돼 보이고 보색이나 대비색의 오드(Odd)조끼를 입으면 산뜻한 포인트가 될 것이다. 셔츠는 소매 끝과 깃이 재킷 밖으로 1∼1.5㎝ 나오도록 하고 넥타이 길이는 끝이 바지 허리에 닿을 정도가 적당하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