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역 기업체 일손구하기 어렵다

최근 경기호전에 힘입어 경기·인천지역 주요공단의 공장가동률이 IMF이전 수준을 훨씬 넘어선 가운데 제조업체들이 생산인력부족으로 주문을 받고도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등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따라 올들어 제조업체 생산직 임금까지 오르고 있다.

24일 반월·시화·인천 남동공단 및 도내 인력공급업체에 따르면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반월 및 시화·인천 남동공단의 공장가동률이 IMF이전 수준인 75%대를 훨씬 넘어 각각 85.5%, 80.5%, 81.8%를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상당수의 제조업체들이 일감이 크게 늘었으나 생산인력부족으로 주문을 받고도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시화공단 염색 가공업체인 Y사의 경우 일감이 크게 늘었으나 3D업종에 따른 생산직의 이직이 한달 평균 3∼4명에 이르러 인력수급도 어려워 고육지책으로 예비인력을 배치해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반월공단내 삼보컴퓨터를 비롯 전자·기계업종을 중심으로 인력난이 심화돼 여자생산직 임금(일당·8시간근무기준)이 2만8천원, 남자는 3만2천원으로 지난해말에 비해 평균 10∼20% 상승했다.

인천 남동공단내 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인 J사는 지난해말부터 주문량이 50%이상 증가해 기술직 인력 5명을 확충하기 위해 취업알선센터에 구인신청을 3개월째 내고 있으나 인력확충이 안되고 있다.

평택공단내 프레스 금형전문업체인 ㈜S사는 지난해말부터 일감이 밀려 구인광고 등을 통해 생산직 직원을 수시모집하고 있으나 근로조건 등에 대한 전화문의만 오는 상태로 구인이 어렵게되자 외국인 산업연수생 8명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

경기·인천지역 상당수 제조업체들의 경우 사정은 마찬가지로 원활한 인력수급과 인력난 해소를 위해 수시채용제를 실시하는 등 대책마려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와함께 최근 이동통신 등 벤처기업들의 급속한 사업 확장으로 인력공급업체에 전문인력주문이 밀려들고 있으나 전문인력이 서울지역에 편중돼 있어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소재 인력공급업체인 미래개발 관계자는“3D업종은 아예 기피를 하는데다 잔업없이 8시간 근무 등 근로조건이 양호해도 하루 근무하고 그만두는 경우도 허다한 상태”라고 말했다./박승돈·류제홍기자 sd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