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사이트 사이버 포교

무궁무진한 정보의 보고 인터넷. 각 분야 장르를 초월하는 이곳엔 불교 관련 정보도 매우 많다.

최근엔 불교 관련 인터넷 텔레비젼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불교 사이트도 많이 있기 때문.

그림파일들은 물론, 각종 경전과 논문같은 문서 자료, 음악파일, 프로그램등 각종 불교 관련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다.

인터넷 불교 사이트중 가장 대표적인 곳이 ‘성철넷(www.songchol.net)’. 성철문도회가 운영하고 있는 이 홈페이지‘불교 관련 자료실’에는 나우누리 승가학회 회원들이 수집한 수백 여 건의 각종 자료들이 수록돼 있다. 경전, 율장, 논장, 선장, 강원, 논문, 저서, 고전, 문화, 목록, 법요, 그림 등 메뉴별로 다양한 자료들이 올라 있다. 성철넷은 선학 및 불교학 관련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제공할 게획이다.

‘불교정보센터(www.budinfo.or.kr)’는 각종 세미나나 심포지움 발표문, 보고서, 논문, 백서 등 실천불교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각종 문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센터는 불교계의 활발한 논의와 여론 창달을 위해 지속적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해 갈 계획이다.

‘이재윤의 불교학당(studybud.buddhism.org)’도 불교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경장, 율장, 논장, 선장, 강원, 포교 자료실, 논문 자료실, 불교 관련 프로그램, 이미지 자료실, 음악파일 자료실로 꾸며져 있다. 98건의 불교 관련 논문을 수록한 것이 강점. 음악자료실에서는 리얼플레이어를 통해 34곡의 찬불가를 들을 수 있다.

‘인드라넷(indra.indranet.net)’은 우리나라는 물론 대만과 일본, 중국 등 한역 대장경을 연구하는 여러나라 불자들이 자발적으로 입력한 경전 등을 모아놓은 ‘자유대장경’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선 내려받을 수 있는 자료는 대만의 글자코드 또는 일본의 글자코드, 한글파일로 입력된 경전들. 아래아한글프로그램에서 사용하면 된다.

‘불교학당(user.interpia98.net/∼mirrk/main)’에서도 경전 자료실, 자유 대장경, 성철넷 자료실, 기타 불교 자료실, 이미지 자료실, 찬불가, 공개 자료실 등으로 이루어진 ‘공개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달마넷(www.dharmanet.net)도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천리안 공개자료실과 링크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방송도 있다.

‘불교인터넷텔레비젼(www.buddhatv.com)’은 불교 관련 인터넷의 대표주자. 지난해 12월 개국해 설법, 상담, 음악방송, 다큐멘터리, 선만화, 교양 강좌 등 다양한 콘텐츠로 불자 네티즌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또 ‘부다게이트(www.buddhagate.com)’, ‘진각종 인터넷 방송국(www.jingak.or.kr)’‘아이엠넷(www.imn.co.kr)’등 그밖의 인터넷방송국도 많이 있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