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 분양방식 대책 필요

저소득층을 상대로 한 장기임대아파트의 분양 방식에 문제가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장기임대아파트(전용면적 18평이하)가 도내에 7만6천744가구 있는 가운데 이들 아파트는 5년간의 임대 기간이 지나면 입주자에게 분양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입주자 대부분이 경제 사정상 3천∼5천만원씩 하는 이 아파트를 분양받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분양률이 극히 저조하다.

또 임대업체 역시 관리비 과다 체납 등으로 아파트 유지·관리에 있어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실제로 S시 주공아파트(701가구)의 경우 지난해부터 입주자들을 상대로 일반 분양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중 30%가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분양권을 포기했고 관리비도 25% 이상 체납됐다.

올들어 임대 기간이 만료된 P, A시 임대아파트(1천500가구)는 분양률이 저조할 것을 우려한 나머지 두달이 지난 현재 분양 개시조차 못하고 있다.

특히 하자보수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지역별로 잇달아 발생하는 장기임대아파트에 대해 아파트 관리용역회사마저도 관리를 기피하고 있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장기임대아파트를 일반 분양하기 보다는 영구임대아파트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이같은 문제점을 행정자치부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