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신도시 본격 개발을 앞두고 국·내외 투자 유치를 위한 방안으로 인천시와 중앙정부의 협력체제 강화, 고급인재 정착을 위한 생활환경 조성 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사실은 인천시와 산업연구원이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 마스터플랜과 투자유치 전략’에 대한 공동연구를 벌인 결과 밝혀졌다.
27일 이 연구서에 따르며 현재 송도신도시의 투자유치 부진의 원인으로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과 KOTRA,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투자유치지원기관의 업무협조 미흡, 투자유치정책의 일관성 부족, 세제지원 부족 등을 꼽았다.
이에따라 연구서는 송도신도시 투자유치를 위해 송도신도시내에 대기업 및 벤처기업과 상호보완적 산업체제를 갖춘 관련기업의 유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경제·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기업의 우선 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연구서는 지방세는 물론, 국세를 파격적으로 감면해주는 유연적 인센티브제 운영, 인천시의 적극적인 투자유치활동, 인천시와 중앙정부의 협력체제 강화 등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서는 첨단산업 기술도시의 조성은 장기간 소요되는 지역개발사업으로 종합적인 마스터 플랜을 갖고 추진해야 하며, 단기적인 수익성에 치중할 경우 유치기업 기능간의 연계성 부족으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