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중 경기지역의 산업활동이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세를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호조세를 보인 반면 인천지역은 주요 업종의 부진으로 신장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경우 전월에 이어 반도체 자동차업종 등 대부분 업종의 내수 및 수출증가가 지속, 전년 동월에 비해 생산이 35.5%, 출하가 47.1% 늘어났다.
반면 인천지역은 조립금속제품 등은 크게 증가했으나 자동차 및 트레일러 등 주요 업종의 부진으로 생산과 출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8.4%, 19.3% 늘어나는데 그치는 등 상승폭이 둔화됐다.
이와함께 재고의 경우 전년 동월비로 경기지역은 수출증가에 대비한 물량확보에 따라 26.4%나 증가한데 비해 인천지역은 2.3%가 줄어들면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주요업종별 출하동향을 보면 경기지역은 석유정제업종(4.4%)이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한 사무계산 및 회계용기계(184.6%)와 자동차 및 트레일러(48.8%), 영상·음향 및 통신기계(38.4%)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에 이어 대폭 늘어났다.
그러나 인천지역은 조립금속제품(120.1%)과 기타전기기계(67.9%) 등이 증가세를 보인 반면 가죽·가방 및 신발(82.7%), 자동차 및 트레일러(5.5%) 등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건설발주액은 경기지역이 1조9천305억3천700만원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351.4%나 증가한 반면 인천지역은 474억6천700만원으로 도로개설공사를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감소, 전년 동월비 54.8%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