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1887-1920)의 삶을담은 ‘수학이 나를 불렀다’(사이언스북스)가 출간됐다.
저자인 로버트 카니겔은 미국의 유명한 과학저술가로 라마누잔의 짧지만 극적인인생을 그의 학문적인 성공과 함께 잘 엮어놓았다.
라마누잔은 영국의 식민지 통치를 받던 인도에서 태어나 32년의 짧은 생을 살았지만 수학계에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인도의 상류계급인 ‘브라만’으로 태어났으나 어려운 가정 형편때문에 비참한 생활을 했다.
게다가 그는 시험 결과만을 중시하고 개인의 창의성을 무시하는 경직된 교육제도 하에서 오직 수학에만 관심을 쏟고 다른 과목을 소홀히 했기 때문에 번번이 낙제, 학교를 졸업하지 못했다.
그러나 라마누잔은 포기하지 않고 수학을 계속 공부하다 그의 연구가 담긴 장문의 편지를 당대 최고의 수학자인 영국의 G.H.하디에게 보내게 된다.
하디는 라마누잔의 연구를 인정, 20세기 수학의 중심지라 불리웠던 영국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 대학에 연구원으로 그를 초청한다.
하디는 라마누잔을 ‘그는 매우 만나기 어려운 꽃이며 인도에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모든 수학적 지식을 혼자서 질서 있게 가득 채운 대단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이런 인연으로 당대 최고의 수학자들과 공동연구를 할 수 있게 된 라마누잔은 영국학술원의 회원이 돼 인도로 되돌아오지만 서른 두 살의 나이로 요절한다.
라마누잔이 트리니티 대학에서 주로 연구한 것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숫자나 방정식이 아닌 무한히 작거나 큰 영역에 관한 것이었다.
그가 만들어낸 ‘라마누잔의 정리’는 플라스틱 중합체나 암 연구 이외에도 소립자물리학과 통계역학, 컴퓨터 과학, 암호 해독학, 우주 과학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책은 냉정한 현실에서 자신의 천재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사그러질 다른 여러 라마누잔에게 ‘무언가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어려운 고비가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