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道홍보기관 전락 우려

“경기문화재단은 도청 홍보처로 전락하는가” “경기문화재단의 문화예술은 죽었다”

경기문화재단의 직제 개편과 함께 주변에서 경기문화재단의 앞날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드높다.

재단은 21일 이사회를 열어 이사장을 행정부지사에서 도지사로 바꿨고, 기획조정실을 신설하고 문예진흥실은 축소시켰다.

이에 도문화예술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있는 사람들은 “재단의 근간이 되는 문예진흥실을 축소하고 도정홍보에 주력하게 될 기획조정실을 신설한 것은 재단의 창단취지를 망각한 처사이며 재단이 앞으로 어떻게 나가겠다는 것인지 경악할 일”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재단 이사장의 경우 행정부지사일때도 바빠서 재단업무를 제대로 챙기지 못했는데 도지사로 격상시킨다고 뭐가 크게 달라질게 있느냐며, 현 추세라면 오히려 이사장에 민간인을 초빙해 오는 것이 맞다는 지적이다.

총무처의 기획조정실로의 개편도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기획조정실은 기획부와 총무부·문화홍보부 등으로 구성되는데 기획부의 일이 문화예술단체 지원 및 배분, 문화예술사업의 종합기획 등 업무성격상 문예진흥실과 연계가 더 많은데 총무처와 합친다는게 합당치 않다는 것이다.

기존의 국제부를 없애고 문화홍보부로 개칭해 기획조정실 산하에 두는 것도 적합치 않다는 견해다. 국제문화교류센터까지 개설해 지난해 2명의 전문위원이 부족해 1명을 더 증원하려던 재단이 국제부의 활동이 미흡하고 필요성을 덜 느껴 폐지하고 문화홍보부에 통합시킨다는 것이 설득력이 없다는 얘기다.

문화재단의 홍보가 주로 예술인 및 사회·문화단체 등을 대상으로 하고있어 직접적인 도민 대상 홍보가 절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홍보부를 강화하는 것은 도가 재단을 이용해 도정홍보를 강화하려는 속셈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조직개편 결과 문예진흥실은 기존의 국제부와 기획부가 빠져나가 문화부와 예술부만 남게됐고, 결국 재단의 핵심이 되어야할 문예진흥실이 축소돼 경기문화예술 진흥이란 재단 설립목적이 크게 퇴색되게 됐다.

현재 문화재단의 사무총장과 총부처장은 도지사 비서실장 출신. 이들이 도문화재단으로 올때 많은 사람들이 문화재단이 퇴임하는 비서실장 자리를 마련해 주는 곳이냐며 자율적인 사업을 펼칠 수 있을까 우려했고, 그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걱정하고 있다.

도는 재단의 올 사업에 효 프로젝트와 도사편찬위원회에서 총정리해 이미 책까지 발간한 항일독립운동 재조명 사업을 주문하는 등 사업에까지 깊은 간섭을 하고있다. 또 경기도 문화관광홍보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명목하에 도내 CATV 네트워크를 구축해 도정홍보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여기에 맞춰 홍보부를 신설하는 등 재단을 도정홍보기관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도내 문화예술계 앞날을 걱정하는 많은 사람들은 “경기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기문화예술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중 처음으로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인 경기문화재단이 타 시도에 모범이 되기보다는 행정의 도구로 악용되는 선례를 남기돼 안타깝다”면서 “이는 도와 재단이 문화를 앞세워 문화예술인을 비롯한 도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