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와 강원지역에 만연하고 있는 말라리아 발병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지적인 방역보다는 남북이 공동으로 비무장지대를 포함한 북한지역까지도 방역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말라리아 환자는 전국적으로 지난 93년 1명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해마다 증가해 95년 107명, 97년 1천274명, 98년 3천932명 등 해마다 크게 증가하다 지난해에는 3천621명으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차원에서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경기북부지역과 강원일원 등 13개 시·군을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지정하고 대대적인 성충 및 유충구제와 작업복·방충망에 모기기피제설치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될 리 만무하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등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당국이 말라리아 치료약품을 요청해 가져간 것을 보더라도 북한에 말라리아 모기가 많음이 입증되고 있다. 이런 모기가 점차 남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접경지역을 비롯한 비무장지대 항공방역과 북한에 말라리아 모기퇴치를 위한 방역 지원은 시급하다.
접경지역 주민들이 말라리아 모기때문에 해마다 여름만 되면 불안해 하는 터에 현재처럼 지엽적인 방역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 좀더 적극적으로 방역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 남북이 협력해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인근지역 등에 대한 항공방제 등에 공동 노력해야 한다.
남북정상회담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의료분야에 있어 남북공동이 말라리아 발병을 퇴치하는 노력이야말로 통일을 앞당기는 하나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파주=고기석기자 <제2사회부> koks@kgib.co.kr 제2사회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