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회 총무를 ‘사무총장’이라고 부르는 동창회가 있다. 그냥 총무라고 하기가 뭣하면 ‘사무장’이라고 해도 될것을 굳이 ‘사무총장’이라고 직함을 매기는것은 과시욕이다. 동창회만이 아니다. 우리사회는 일반적으로 직함인플레 현상이 심하다. 동창회 사무총장은 그래도 하는 일이라도 뚜렷하다. 명함을 받아보면 별볼일 없는 어마어마한 직함이 많다.
이밖에도 또 있다. 구두닦는 이를 미화원(美靴員)이라고 한다. 구두를 아름답게 닦는다는 뜻이지만 미화원이라고 해서 쉽게 알아들을 이는 별로 없다. 청소원을 환경미화원 이라고 한다. 그럴듯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청소원들의 바람은 명칭보다 아마 처우를 더 잘해주기를 바랄 것이다.
간호원을 간호사라고 부른다. 당초엔 간호부(婦)였던 것을 간호원 이라고 했다가 간호사로 고쳤다. 간호사라고 해서 나쁠 것은 없지만 일본은 지금도 간호부라고 부른다. 아마 남자 간호사는 간호부(夫)라고 할지 모른다.
미화원, 환경미화원, 간호사 등 명칭은 정부의 행정기관에서 모두 바꾼 말이다. 이는 몇가지 사례만 들었을 뿐 행정기관이 듣기좋게 바꾼 명칭은 이밖에도 많다. 명칭을 듣기좋게 바꾼 것을 탓할 수는 없지만 그보다는 내실이 더 중요하지 않나 싶다.
‘작은 정부’를 표방하고 부총리를 없앤 정부가 다시 부총리제를 부활한다고 한다. 경제부총리, 교육부총리가 곧 생긴다. 부총리로 한다 해서 경제가 더 나아지고 교육이 더 나아지는 것은 아니다. 이 역시 직함 인플레에 지나지 않는다./白山 /白山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