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출근

자전거는 1790년 프랑스에서 목마에 바퀴를 만들어 붙인데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최초의 자전거는 사람이 발로 땅을 차면서 굴러갔다. 앞바퀴로 방향을 좌우로 돌린 것은 1816년 무렵이었고 발을 땅에 대지않고 달린 것은 1839년이었다. 공기타이어가 나온 것은 1886년이었으며, 지금같은 형태의 자전거로 발전한 것은 1890년대 초다.

자전거가 유래된지 약 100년만에 오늘의 자전거로 발전한 것을 보면 라이트형제가 1903년 복엽비행기로 최초의 동력비행에 성공한지 100년도 안돼 우주선까지 개발된 것에 비해 무척 더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에 자전거가 처음 도입된 것은 윤치호가 갑신정변으로 미국에 망명했다가 1895년 귀국하면서 들여온 것으로 전한다. 1905년 조정에서 만든 ‘가로관리규칙’ 가운데 ‘야간에 등화없이 자전거타는 것을 금한다’는 조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 상당히 보급됐던 것 같다. 황성신문 1906년 4월 16일자엔 상금 100원이 걸린 자전거경기대회가 대대적으로 보도됐다. 이 무렵에는 관청이나 군대에서도 자전거를 구입, 공용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지금의 자동차만큼 큰 구실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근래 자전거출퇴근이 눈에 띈다. 휘발유값이 자꾸 오르기만 한다. 교통체증이 날로 심화하여 달리는 시간보다 공회전하는 시간이 더 많을 때가 있다. 승용차 출근을 하면서 짜증스런 일을 당하느니 차라리 자전거 출근으로 씽씽 달리는 모습이 무척 경쾌해 보인다.

자전거도로시설이 열악한데다가 그나마도 흐지부지 되곤 하는 것은 이용자가 적기 때문이다. 우리도 은륜의 물결을 이룰 정도로 자전거 출퇴근이 보편화 됐으면 좋겠다. 운동겸해 건강에도 좋은 것은 상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