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집권 중·후반기를 함께할 내각 개편이 내주초 단행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그동안 청와대와 당 일각에서는 개각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정부조직법의 통과 여부를 지켜본 뒤 개각을 검토해야 한다는 일반론을 펴왔다.
그러나 국회법 개정을 둘러싼 국회파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국회를 쳐다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이 여권의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청와대는 국회법 개정안 전격 타결 가능성 등 아직도 국회 상황을 좀더 지켜본다는 입장이지만 인내의 시간은 그리 길지 않을 전망이다.
여야가 극적인 타협점을 찾아 국회를 정상화시키고 합의에 의해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킨다면 좋겠지만 정 안될 경우 여당 단독으로라도 정부조직법을 통과시키거나 단독처리가 부담스럽다고 판단되면 정부조직법 통과에 관계없이 개각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 여권 핵심의 생각인 것이다.
때문에 국회 상황 호전을 기다리는 인내는 이번주가 고비가 될 듯 하다.
여권이 이처럼 개각 시점을 내주초로 잡은 것은 더 이상 내각 개편을 늦출 수 없다는 현실적인 필요성 때문이다.
여기에 오래전부터 흘러나오는 개각설로 뒤숭숭한 공직사회의 분위기를 시급히 다잡을 필요성도 크다. 청와대측이 내각의 동요를 우려해 조기개각설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지만 이것이 오히려 동요를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있었다.
또 이미 청와대의 관련 수석실 등에서는 김 대통령에게 개각 참고자료를 올렸으며, 김 대통령은 지난주 하계휴가 기간에 개각 구상을 상당부분 완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각의 폭에 대해서는 조각수준의 대폭 개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언제하느냐가 문제지 폭은 소폭·중폭이 아니라 대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제팀과 외교안보팀의 경우, 개혁과 남북관계의 마무리 차원에서 대대적인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함께 의약분업, 노동계 파업 등 각종 현안 대처과정에서 대응능력의 문제점을 지적받아온 일부 각료의 경질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각의 새 진용이 짜여지는 것과 함께 청와대 수석비서진도 상당수가 바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 폐업, 노동계 파업 등 각종 현안 처리과정에서 소리소문 없이 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해온 한광옥 비서실장은 유임될 것으로 알려졌지만 수석비서관들은 8명중 상당수가 자리이동을 하거나 교체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