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적 가을논에 새를 보면서 메뚜기를 잡았다. 논엔 (지금은 농약과 비료바람에 다 없어진 메뚜기뿐 아니라) 미꾸라지도 있고 우렁도 있었다. 며칠전 어느 자리의 뷔페음식 가운데 메뚜기볶음이 있어 반가워했더니 누군가가 “아마 냉동된 중국산일 것”이라고 말해 듣고보니 아직은 메뚜기 철이 좀 이른 것으로 미루어 그럴것 같았다.
메뚜기를 잡아 강아지풀 줄기를 빼 꿰어 매거나 사이다병에 담았다가 참기름과 소금에 볶은 맛이란 일품이다. (지금의 어린이들에겐 이런 자연친화적 놀이와 맛을 안겨주지 못하는 어른들의 책임이 크다)
그러고 보니 저임금을 무기삼아 밀물처럼 쳐 들어오는 중국산 공세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농산물로는 참깨 땅콩을 비롯해 수산물엔 꽃게 조기등 민물의 미꾸라지까지 중국산 투성이다. 심지어는 뱀(보신용)까지 별의 별것이 밀수입되기도 한다. 우리 농촌에서는 고사리나 도라지를 캐어 팔아봐야 품삯도 나오지 않는 틈새를 타 산채도 중국산이 판친다.
이런 중국산이 신토불이어서 아무래도 토종과는 달라 우리의 입맛에 맞지 않기도 하지만 더욱 문제인 것은 공해오염이다. 우리가 6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고도성장을 지향하고 있는 중국은 환경보다는 경제가 우선이어서 수질오염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또 우리의 공산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농수산물 수입이 불가피한 입장이다. 이바람에 지난 봄엔 마늘수입으로 국산 마늘값이 떨어져 농민들을 울상짓게 하더니 이젠 가을 고추값의 폭락조짐이 벌써부터 나타나 농가들을 애태우게 하고 있다. 농업인들에 대한 이같은 피해는 정부의 적정가격 수매가 요구되지만 참 걱정이 많다. 올 추석 차례상에 자칫 잘못하면 조상이 잡수어보시지 않은 중국산 제수가 오를 판이니.
/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