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난 해소와 건전한 여가문화 정책을 위해 조성한 자전거도로가 예산만 낭비한다면 무용지물과 다름없다. 자전거도로가 무용지물이라고 지적받는 이유는 우선 연계교통망과 보관소 등 기본적인 ‘자전거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데다 안전사고 예방장치도 미흡하여 주민들의 이용률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다수의 자치단체들이 전용도로 조성보다는 기존의 인도나 차도에 선만 긋는 겸용도로를 대거 개설, 실적위주의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의 경우 올해까지 남동구 장수동 인천대공원∼논현동 생태공원간 3.6㎞ 등 총 14.2㎞를 조성할 계획이고 성남시도 오는 2000년까지 166억여원을 들여 왕복 20㎞ 이상의 자전거도로망과 500대를 수용할 수 있는 보관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안양, 고양, 부천, 하남시등 대부분의 지자체들도 자전거도로 개설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지자체들이 조성한 자전거도로 대부분이 전용로라기보다는 보행자 혹은 자동차겸용도로라는 점이 문제다. 또 1㎞를 개설하더라도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전용로를 개설해야 함에도 실적에 치우쳐 겸용도로를 양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자전거도로가 인도의 가로수와 전주를 따라 선만 긋는 겸용도로로 설치돼 있다.
또 각 지역의 거리가 갖는 특성, 경사도 등을 무시한 채 자전거도로를 마구잡이식으로 설치하고 있거나 도로 중간 중간이 끊기고 보관소가 적은데다 불법 주·정차차량, 노점상 등이 도로를 점거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이다.
이와 같아서는 자전거도로는 있으나 마나한, 아니 없애는 편이 도로소통상 나을 것이다. 현재 자치단체들이 개설해 놓은 자전거도로의 경우 90% 이상이 차도와 인도 겸용도로이기 때문에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해 주민들이 이용을 꺼리고 있는 것이다.
자전거 이용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자전거 횡단도로와 안전표지판, 안전 펜스 등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이와함께 연계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도록 정류소나 전철역 부근에 전용보관소를 대폭 확충하고 공기주입기 등을 설치, 주민 불편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자전거 이용자가 많을수록 환경오염이 줄어 들고 에너지가 절약된다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전시행정이 아닌 실질적인
자전거전용도로를 개설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