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에서 가장 신뢰의 대상이 돼야할 시의회가 가장 불신의 대상이 된 것만큼 불행한 일도 드물다. 시민단체의 지탄을 받고있는 평택시의회는 이같은 지역사회의 번민을 아는지 모르는지 그저 눈과 귀를 온통 가리고 버티는 감각 마비증상을 보이는 뱃심이 어지간하다.
누구누구 탓이라고 자기들끼리 힐난하며 벌이는 쑥덕공론 소식을 듣는 많은 시민들은 더욱 실망의 탄식을 터뜨리고 있다.
여느 때 같으면 지역행사에서 으레 모습을 볼 수 있는 의장을 어느 행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는 소리가 시민들 입에서 나오고 있다.
겨우 한다는 것이 시민에 대한 사과문 발표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문제가 없는 게 아니다.
의장선거 부정의혹에 아무 관련이 없는 시의원들이 “왜 우리까지 끌어 넣느냐”며 전체 시의회 이름의 사과문 발표에 반대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는 게 객관적인 평인 것같다. 또 사과문을 발표한다고 해서 그것으로 시민들의 분노가 진정될 것같지도 않다. 그러기엔 관련시의원들의 자정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대체적인 지역정서이기 때문이다.
사태가 어쩌다가 이토록 악화됐는지 정말 답답한 일이다.
기초의원까지 포함하는 지방의원 유급제가 정치권에서 추진되고 있다. 시민들의 지탄을 받는 시의원이 주민 세부담의 월급을 받는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평택시의회는 정녕 자정능력이 없는 것인가. 눈치만 보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도덕적 용기를 보여줄 수는 없는 것일까. 옥석이 구분된 지방선량의 제모습으로 신뢰가 회복된 평택시의회 의회상을 하루빨리 보고싶어하는 것이 시민들의 바램이다.
/이수영기자 <제2사회부·평택> sylee@kgib.co.kr 제2사회부·평택>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