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政 질의가 부담스러워?

최근 경기도의회 의원들의 의정활동이 활력을 잃는 징후를 보여 우려를 낳고 있다. 지금 우리 주변은 하루가 다르게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환경이 급변하고 민생과 직결된 현안들이 쌓이고 있다. 그런데도 지난 25일 4조8천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안 심의를 위해 회기 12일 일정으로 개회한 임시회가 초기부터 초점을 잃고 흐느적거리고 있다.

지방의원의 주요 기능이 집행부를 감시 견제하는 것임에도 추경예산안을 심의하면서 도정 질문을 꺼려서인지 희망의원이 고작 4명에 불과해 대집행부 질의일정을 단 하루(26일)밖에 잡지 않은 것도 그렇거니와 질문내용도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1시간만에 두드러진 문제점 제기없이 싱겁게 끝낸 대집행부 질의에서 민주당의 어떤 의원은 도정과 직접 관련도 없는 엉뚱한 내용의 발언으로 동료의원들을 어리둥절케 했다. 그는

한나라당 이회창총재 부친은 친일파 운운하며 그래서 이총재의 민족의식이 그런것 아니냐며 친일파는 공직인사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요지의 친일파 배제론을 주장했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지방의원으로서의 자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우리에겐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 절약을 비롯 공장총량제·기초생활보장 지원대상자 선정·남북화해 무드에 따른 북부지역 개발·물가불안 등 어느것 하나 소홀히 지나칠 수 없는 중요한 사안들이 전국적 또는 지역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도의회는 이러한 현안들을 외면한 채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중앙정치판의 정쟁의 불씨나 끌어들이려 하고 있으니 한심하고 답답할 뿐이다.

어느 재선의원의 말처럼 대부분의 의원들이 도정에 대한 연구를 하지 않아 도정질문 기회를 오히려 부담스러워 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이는 도의원이 도민의 대표임을 망각하고 도정을 감시 견제하는 지방의원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스스로 포기한 처사가 아니냐는 도민들의 호된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고 본다. 이제부터라도 도의원들은 중앙정부의 정책과 지방정부의 시책에 대한 지역민들의

반응과 바라는 바가 무엇인지 귀 기울여 대응책을 세우는 의정활동을 벌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정을 샅샅이 숙지하도록 스스로 노력하고, 그런 연후에 상위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귀 따갑게 듣는 말이겠지만 도의원들은 지방자치와 민주정치의 뿌리를 활착시키는 주역임을 잠시도 잊어서는 안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