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수가 70년 이후 가장 적었으며 15년이상 동거부부의 이혼이 4쌍중 1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99년 인구동태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수는 98년보다 2만7천여명 줄어든 61만6천명으로 매년 출생아수를 파악한 70년이후 최저치다.
출생아는 70년 101만명, 80년 87만명 이후 급격한 출생감소로 90년에 66만명으로 줄었다가 92년 72만명으로 다소 반등했으나 95년이후 5년째 출생아수가 줄고 있다.
1일 평균 출생아수는 1천688명이며 출산율이 크게 낮아지면서 80년대 중반이후 높아지기 시작한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수)는 90년 116.5를 고비로 감소하기 시작해 99년에는 109.6에 그쳤다.
지난해 사망자수는 24만7천명으로 1일 평균 사망자는 675명이다.
남자는 30대 후반까지, 여자는 50대 전반까지 인구 1천명당 3명이하의 사망률을 보이다가 남자 50대 후반부터, 여자는 60대 후반부터 인구 1천명당 10명이상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간 혼인건수는 36만3천건으로 1일 평균 994쌍이 혼인, 90년대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29.1세, 여자 26.3세로 90년에 비해 남자는 1.3세, 여자는 1.5세 늘어났다. 평균 재혼연령은 남자 42.2세 여자 37.5세다.
연간 이혼은 11만8천건으로 1일 평균 323쌍이 갈라섰으며 이혼한 부부의 평균 동거기간은 9.9년으로 조사됐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자 40세, 여자 36.4세로 5년미만 동거부부의 이혼비율이 31.4%로 가장 높다. 또 15년이상 동거부부 이혼비율이 90년 11.9%에서 99년 25.9%로 대폭 상승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