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의 학생이 19세기의 시설에서 교육을 받으면 과연 교육이 제대로 되겠는가. 최첨단의 과학기술 발달을 구가하는 21세기는 어느 때보다도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시설의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60∼70년대와 같이 춘궁기를 걱정하는 어려운 시절도 아닌데, 학생들이 판잣집 같은 컨테이너에서 수업을 받고 있다면 과연 이를 믿을 수 있겠는가?
최근 교육부가 국정감사 자료로 국회에 제출한 바에 의하면 경기·인천지역의 초·중·고생의 약 5천700여명이 컨테이너나 조립식으로 만든 임시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무려 153학급이, 경기지역도 17학급이 컨테이너 수업을 받고 있다. 더구나 심각한 것은 이런 컨테이너 수업이 오는 2002년이나 가야 겨우 정상화된다고 한다. 이와 같은 열악한 교육환경은 서울지역의 컨테이너 수업을 받는 약 5천500여명의 학생보다도 많으며, 이는 또한 전국 16개 시·도에 비하여 최고(?)의 컨테이너 교실 수업을 나타내고 있다.
경인지역은 다른 지방자치 단체에 비하여 교육환경이 열악하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경인지역은 계속되는 유입인구로 말미암아 교육시설 확충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에 대한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열악한 교육환경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최소한의 시설을 갖춘 교실은 교육의 질(質) 문제가 아니라, 가장 기초적인 시설에 관한 문제이다. 이는 잠잘 집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고 삶의 질(質)을 논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지난 18년 동안 정부는 교육세라는 특별세 명목으로 무려 36조원을 거둬들였는데, 이 많은 돈을 어디에 사용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내년도 예산에 교육부문은 3조7천억원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교실부족을 해소하는 것이다. 지자체도 중앙정부만 기대하지 말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해야 된다. 이런 교육환경 아래서 어떻게 지역인재가 육성될 수 있겠는가. 교육이야말로 국가발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투자인데, 아직도 컨테이너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면 이는 너무도 부끄러운 일이 아닌가. 정부와 지자체는 최소한 컨테이너 교실 수업이라도 없앨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