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선 초중고교에 구성되어 있는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가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갈등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할 일이다. 내년 4월 실시될 경기교육감 선거는 지난해말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에 따라 일선 학교의 학운위 위원들이 직접선거로 교육감을 뽑게된 이후 처음 치러지는 선거다. 학운위 위원들에게 교육감 선거권이 주어짐에 따라 일부 학운위장들이 ‘경기도학운위장 총연합회’를 구성하는 등 집단세력화 하는 과정에서 세력간 편가르기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8일 총회에서 새 회장을 뽑은 경기도학운위장 총연합회는 지난달말 일부 학운위장들이 총회와 무관하게 음식점에 모여 회장을 뽑았다가 말썽이 일자 이를 무효화하고 이날 다시 회장을 뽑는 해프닝을 벌였다. 도내 1천400명의 학운위장 중 일부 지역의 370명만 참석해 열린 총회는 그나마 참석자 중 150명이 연합회 구성과 회장선출방식에 불만을 품고 투표에 참가하지 않는 등 갈등을 드러냈다. 이처럼 일부
학운위장들이 ‘연합회’라는 임의단체를 구성, 회장과 임원자리를 놓고 다툼을 벌이는 것은 교육감 선거에 영향을 주기 위해 집단세력화를 도모하는 것이 아니냐는 항간의 의구심을 받기에 충분한 것이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별로 중요한 문제가 있을 때 이를 자문하는 교내 기구이다. 교원·학부모·지역인사가 위원으로 뽑혀 학교발전을 위해 자문해야 할 학운위가 교육감 선거를 겨냥 세력화하고 편가르기에 나서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학운위 위원들에게 교육감 선출권을 부여한 것은 우리의 교육자치수준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도 교육감 선거를 앞둔 사전포석으로 세몰이에 몰두하는
것은 학운위의 기능과 역할을 크게 훼손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난 6∼8월에 치러진 충남·전북·서울교육감 선거에서 후보자들이 학운위 위원들에게 향응을 제공하다 적발되는 등 혼탁양상을 보여 각계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은바 있다. 이제 학운위 위원들은 자신들에게 교육감 선출권을 부여한 자체가 불법선거를 배제하고 교육자치를 한 차원 높게 실현하기 위한 진일보한 제도임을 자각하고 무거워진 책임감을 깊게 느껴야 한다. 지역의 양식있는 인사들로 구성된
학운위가 교육감 선거에 휩쓸려 세다툼과 이합집산으로 추한 꼴을 보인다면 교육현장의 문제를 넘어 우리의 미래가 암담해질 뿐이다. 학운위 위원들은 투표권 확대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더욱더 자중자애할 것을 거듭 당부해 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