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01년 쇠고기시장 전면 개방을 앞두고 국내 축산물의 생산과 유통의 계열화 및 브랜드화를 위해 지난 94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987억원을 투입, 추진한 축산물종합처리장사업이 사실상 전면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농림부가 국회 농림해양수산위 정장선 의원(민·평택을)에게 제출한 ‘축산물종합처리장설치사업 현황’에 따르면 사업장으로 선정된 전국 12개소 중 5개소는 사업을 취소하거나 포기했으며, 가동중인 4개소 중 2개소는 부도가 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94년 총 사업비 308억7천500만원이 투입돼 98년 4월부터 가동에 들어간 안성축산의 경우, 도축능력 대비 소는 14%, 돼지 52%에 그치고 있는 등 정상적인 가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95년 9월 사업자로 선정된 포천의 북원농산은 사업자가 지원금 71억원을 유용해 구속 수감되면서 사업이 취소됐으며 현재 지원금 전액을 회수하기 위한 경매를 추진중이나 99년 7월 이후 4차례 경매가 모두 유찰된 상태다.
또한 97년 9월 사업자로 선정된 연천의 진승산업은 사업추진능력이 부족해 사업자선정이 취소되었으며, 94년 12월 선정된 포천의 서울경기양돈조합은 사업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자진해 포기했다.
이밖에 경북 군위의 동아축산(사업비 219억8천900만원)과 전북 익산의 (주)부천(104억3천100만원), 전남 장성의 거평팜랜드(13억원)는 모기업의 부도 또는 자체 부도로 인해 3자 매각 및 경매가 추진중에 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축산물종합처리장 사업이 대규모 장치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경영능력이 부족한 소규모 도축업자를 중심으로 사업자가 선정되었기 때문”이라며 “정밀 경영진단을 통해 과감한 퇴출 등 정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