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지방은행 설립하려는 움직임

인천지역에 지방은행을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상호신용금고 주주들과 지역 기업체 사이에서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지방은행 설립설은 4일 흥성상호신용금고가 금감원으로부터 영업정지 명령을 받으면서 더욱 설득력을 갖고 전파되고 있다.

지방은행 설립설은 경기은행 퇴출 이후 인천지역 기업들이 타 지역보다 몇 배의 자금난을 겪어왔는데도 전체 13개의 신용금고 중 이미 올들어 한국·안흥·흥성 등 3개 금고가 영업정지를 당했으며, 3∼4개 금고가 감사·집중조사를 받고 있어 조만간 연쇄적인 지역금고 퇴출 파동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향토 금융시장이 완전히 사라지게 될 위기감이 팽배해지자 반사적으로 지방은행 설립설이 나온 것이다.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법적 납입자본금 500억원을 당장이라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도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지난달 말 인천지역신용금고연합회 한 간부는 공식석상에서 “지역 기업체들의 긴급자금난 해소와 사채폐단을 막기 위해 누군가 경기은행의 후신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상 인천상의 고문도 5일 “인천은행 설립 당시와 마찬가지로 인천지역 상공인과 상공회의소 등이 나서 인천의 지방은행 설립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혀 지방은행 설립은 향후 인천의 최대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