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와 중간재 가격이 지난 6월이후 4개월째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물가상승압력이 커져 경제불안 요인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중 가공단계별 물가동향’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선행지표 성격을 갖고 있는 원재료와 중간재 가격이 전월보다 0.8% 상승해 4개월째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 6월에 1.7%, 7월 0.5%, 8월 0.1%가 상승했었다.
이처럼 원재료·중간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것은 원유와 석유제품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향후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원재료 가격은 미국내 원유재고 감소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추가증산 불투명 등으로 원유수입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월보다 1.1%, 전년동기보다는 15%가 각각 올랐다.
중간재는 섬유제품 및 의복이 폴리에스테르 직물 수요부진 등으로 내림세를 보였으나 경유와 나프타, 제트유 등 석유제품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 0.8%가 올랐다.
이와함께 재화부문의 종합적인 인플레이션 측정지표로 이용되는 최종재는 자본재가 전력 및 통신케이블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0.2% 상승한데다 소비재가 등유와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과 채소, 과일류가 크게 오르면서 1.3% 상승, 전체적으로 0.9%가 올랐다.
이에 따라 가공단계별 총지수는 125.7로 전월보다 0.9%,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서도 3.1%가 각각 상승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9월중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전월보다 10.7%나 상승했는데도 원유수입가격이 3.5%상승에 그친 것은 약 1개월간 도입시차 때문으로 이달에는 원유수입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