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개발(2) 성남 판교 반응

“그동안 신도시 건설 등 개발 계획만 무성하게 나돌았을뿐 재산권 행사도 하지 못해 주민들이 받은 고통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신도시 건설이든 택지개발이든 상관없이 빨리 결론이 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국토연구원이 지난 10일 발표한 신도시 후보지 7곳중 수도권 최고의 노른자위 땅인 성남시 판교일대가 개발과 환경보전이라는 딜레마속에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다.

판교 IC를 지나 세곡∼풍덕간 지방도로를 따라 펼쳐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운중동, 백현동, 하산운동일대는 화훼단지를 비롯 논과 밭, 산이 어우러져 전형적 전원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서울 남단인 수서와 성남 분당, 용인사이의 유일한 완충녹지 역할을 하고 있는 이일대는 지난 76년 남단녹지로 묶이면서 그린벨트에 준하는 행정규제를 받고 있다가 입지적으로 양호해 수차례에 걸쳐 개발설이 흘러나오는 곳.

지난 99년 3월 판교일대에 대규모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을 추진하면서 건축제한조치를 내렸으며 최근 1년간 건축제한조치가 연장됐다.

그동안 각종 개발방안 제시에도 불구, 재산권 침해를 받은데 대한 적절한 보상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교통난 및 환경파괴 등을 지적하는 환경 및 시민단체들의 치열한 공방으로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고 있다.

원주민 이모씨(48·성남시 분당구 삼평동)는 “남단녹지로 묶이면서 25년간 재산권 행사는 물론 각종 건축행위가 제한돼 물질·정신적으로 받은 고통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며 “주민들의 의견을 도외시한채 희생만 강요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정책대안제시 등을 통해 빠른 결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자 공인중개사무소 김영수대표(성남시 분당구 서현동)는 “신도시 건설 발표후 개발에 대한 기대심리가 팽배, 지주 및 매입자의 문의 및 방문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관망세가 우세한 상태로 건설계획이 확정될 경우 실거래가 크게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민 김모씨(45·성남시 분당구 서현동)는 “ 판교신도시가 건설될 경우 분당지역 아파트의 연한이 10년이상지나 노후화를 우려, 대거이동이 예상돼 집값 하락에 따른 재산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공동화 현상마저 우려돼 새로운 도시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분당환경시민의 모임 김경희 사무국장은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하는 주민들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 거시적으론 환경파괴 및 교통난 가중으로 비교적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분당지역마저 최악의 주거조건이 될 우려가 높다”며 신도시 건설에 대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박승돈·정인홍기자 sd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