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민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가 지난 5년동안 796억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으며 26.5%인 508개 금고는 취약하거나 위험 등급으로 분류돼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새마을금고연합회 지도감독을 맡고 있는 행자부는 지난 91년과 지난해에 감사를 실시하는 등 10년동안 두차례 감사에 그쳤으며 단위금고의 지도감독권을 위임받은 지방자치단체도 방치하고 있어 관리사각지대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연합회가 행정자치위원회 박종희의원(한나라당)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동안 95개의 금고에서 횡령이나 부당대출 등으로 796억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한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횡령이 88.4%인 706억원, 부당대출이 92억원으로 6년에 1회꼴로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회원금고들에 대한 지도감독에 허점을 드러냈다.
금융사고는 지난 96년 22개 금고 58억원, 97년 22개 금고 76억원, 98년 22개 81억원, 99년 18개 301억원이며 올들어 지난 6월말까지 11개 금고에서 180억원으로 나타나는 등 98년이후 대형화되고 있어 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새마을금고연합회가 회원금고를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실태 평가결과 1천921개 금고중 1등급(우수) 69개, 2등급(양호) 539개, 3등급(보통) 805개로 나타났으나 26.5%인 508개는 4등급(취약)과 5등급(위험)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박종희 의원은 “지난해 2천126개 금고에서 합병, 청산 등을 통해 올들어 1천921개에 이르고 있으나 자생력 확충이 미흡하고 불합리한 여수신관리 등이 미흡하다”며 “행자부 지도감독기능의 전문성 및 기능강화와 철저한 업무시스템 도입, 인사관행 개선, 회원금고 간부의 전문성 확보 등이 시급하다” 고 지적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