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보상가 문제로 일부 주민들의 반대가 있을 수 있으나 난개발 여파로 홍역을 치루고 있는 김포시의 발전과 난개발 방지차원에서라도 신도시건설이 절실한 상태입니다.”
국토연구원이 지난 10일 발표한 신도시 후보지 7곳중 한곳인 김포시 장기동에서 양촌면소재를 포함하는 남쪽일대는 성남 판교, 화성군 동탄면일대가 개발기대감으로 술렁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산한 분위기다.
서울∼강화간 48번국도와 인천∼강화간 국도를 사이에 두고 있는 이 지역은 드넓게 펼쳐진 논과 밭사이로 간간히 농가주택들이 한눈에 들어오는 전형적인 농촌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신도시건설 발표후 이 일대 부동산에는 개발지역에 대한 문의 및 방문이 하루 평균10여건이상 이어졌으나 최근들어선 간혹 전화문의만 올뿐 방문객들은 전무한 상태다.
특히 이 지역은 김포시가 신도시 건설을 위해 지난 6월 주민공청회를 거치면서 개발 윤곽이 드러나 있는 상태이나 주민들은 실제로 개발시기 및 구체적인 사업시행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반신반의하고 있다.
주민 이모씨(52·김포시 양촌면)는 “김포시의 경우 계획적으로 개발된 지역이 전혀 없어 용인에 이어 대표적인 난개발 지역으로 낙인 찍혀 있는 상태”라며 “난개발 방지와 시발전을 위해선 계획적이며 체계적인 도시건설이 절실한 상태”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이모씨(45·김포시 장지동)는 “생활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들 대부분이 신도시 건설 등 체계적인 개발을 바라고 있으나 구체적인 개발계획이 나오기까지는 반신반의하고 있다”며“이 일대 미분양아파트를 소화하지 못하고 충분한 자족적인 기능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신도시 건설이 꼭 필요하냐”고 반문했다.
이와함께 일부 주민들은 신도시 개발로 토지가 수용될 경우 받을 보상비가 현시세보다 턱없이 낮을 것이라는 우려속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부동산랜드 양촌점 정호배 대표는 “이 지역의 신도시 건설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나 신도시건설의 문제점인 환경친화적이지 못하고 자족적인 기능이 마련돼 있지 않고 주변지역과의 교통체증 야기 등으로 반대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며“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신도시 건설을 위해 충분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