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가 도내 회원건설업체들로부터 신규회원사 입회비 1천만원 등 각종 회비를 징수하고 있으나 회원사를 위한 불합리한 건설업 관련 제도 및 시책개선사업이 지지부진한데다 조사연구사업 등 회원사 권익옹호를 위한 각종 사업이 극히 미미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건협 경기도회와 회원사들에 따르면 신규 회원사는 면허업종 수와 관계없이 입회비 1천만원, 기존 회원사는 토목건축면허 100만원, 그밖의 면허는 건당 50만원씩 연회비로 납부하고 매년 도급액의 1/10,000을 통상회비로 납부하고 있다.
올들어서만도 100여개의 회원사가 신규로 가입, 현재 663개사가 정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그러나 IMF체제 이후 회원사들이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음에도 올해 불합리한 시책의 개선을 요구하는 건의사업이 지역의무공동도급율 상향조정 등 5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건설업의 진흥 및 시공기술 향상에 대한 조사연구사업은 전무하며 홍보활동도 연2회 회원명부 발행 및 월1회 협회보 발행이 고작이다.
특히 회원사들이 높은 관심을 갖는 건설기자재 수급동향과 노임시세 등에 대한 조사연구나 대책도 전혀 없는데다 외국건설단체와의 제휴 등 국제협력사업 등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형편이다.
이와관련 회원사의 한 관계자는 “IMF체제로 돌입한 이래 각종 공사가 급감한데다 건설업계로 새로 진출하는 업체들은 크게 늘어 경영난이 심각한 실정인데 협회가 회원사를 위한 사업이 지지부진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건협의 한 관계자는 “회원사들의 어려움을 감안, 통상회비는 본회에서만 징수하고 있으며 조만간 회원과를 새로 설립해 회원사를 위한 사업을 체계적으로 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