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정보산업은 인터넷 관련산업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뉴스를 인터넷으로 보고 게임을 즐기며 대화의 창구도 인터넷이다.
주식거래는 물론 진료까지 인터넷으로 가능한 세상이 됐다.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쳤던 그 어떤 기기보다도 인터넷은 휠씬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정보센터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수는 지난 5월 1천534만명, 6월 1천575만명, 7월 1천603만명에서 8월말 현재 1천649만명으로 집계돼 월 평균 37만명정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 대중화에 따라 사업자들은 전자상거래에 대한 비중을 더욱 늘려 잡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내고 만족시킬 수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국내동향 및 전자상거래 요령에 대해 살펴본다.
◇국내 전자상거래 동향
2005년 5월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네티즌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품 구매횟수는 분기당 2.88회로 나타났으며 상품구매는 월1회도 안돼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인터넷을 통한 상품구입 경험은 서적이 33.1%로 가장 높고 음악·영화·CD·테이프 등이 15.6%, 화장품·향수 11.5%로 나타났다.
대금 결제는 온라인 입금이 58.5%로 가장 많이 사용됐으며 신용카드 36.7%, 전자화폐 4.8%로 조사됐다.
상품을 구입할대 비교정보 제공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33.9%였다.
이용약관을 꼼꼼히 읽어보는 이용자는 8.9%, 요청하지도 않은 광고성 전자우편을 수신한 경험은 72.0%에 이른다.
대금결제와 관련해서는 94.9%의 네티즌들이 신용카드번호 유출가능성을 염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계층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에도 불구하고 경제력이 부족해 실제 전자상거래 구매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는 우리나라 소비를 주도할 정도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데도 이들 계층의 구매 빈도가 극히 낮았다.
국내 인터넷 시장의 흥망성쇠는 가정주부들 손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부들이 가정소비생활의 70∼80%를 담당하는 현실에서 전자상거래산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경제력이 뒷받침되는 주부들의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
사업자들은 이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고 만족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의 ‘99년국민소비형태’조사에 따르면 소비생활에서의 정보화 중요성에 대해 국민 88.8%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소비자 스스로 평가한 자신의 정보화 수준은 100점 만점에 53.9%에 불과한 실정이다.
주부의 경우 36.5%만이 컴퓨터를 다룰 수 있으며 인터넷 이용 경험은 15.2%에 불과하다.
◇인터넷 쇼핑 요령
인터넷 시대에 소비생활과 가장 관련이 깊은 분야가 인터넷 쇼핑일 것이다.
인터넷 쇼핑은 PC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살펴보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후 다양한 결제방법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품정보를 얻는 법
인터넷쇼핑은 물건을 직접보고 바로 구입하는것이 아니라 사진과 상품설명을 통해서만 제품의 대략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실제 쇼핑하는 것과 같이 제품의 품질을 요모조모 살펴보기가 어렵다는데 문제가 있다.
인터넷 상에서는 전문적으로 가격을 비교해 주는 가격비교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상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는 사이트가 있다.
상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알고 싶을때는 상품정보 114, 쇼펠넷, 샵스마트 사이트를 참조한다.
상품을 사용한 소비자 리뷰를 보고 싶을때에는 엔토크, 가이드클럽, 이보이스, 노피니온즈 등의 사이트를 방문하면 도움이 된다.
▲상품대금 결제 요령
보안시스템을 갖춘 업체와 거래한다.
신용카드 결제 방식도 역시 인터넷망을 타고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전송되고 승인되는 과정에서 위조·변조 등과 같은 보안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돼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여 보안 시스템으로 SSL(Secure Socket Layer)이나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방식이 사용되는데 소비자들은 신용카드로 결제시 보안장치가 철저한 쇼핑몰과 거래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 개인정보가 누설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비밀번호는 자신만 알 수 있도록 독창적으로 만들고 절대 다른사람에게 알려줘선 안된다.
전화번호·생년월일·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을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만들지 않는다.
또 대금은 신용카드로 결제한다.
신용카드 약관에 의하면 소비자가 20만원 이상의 제품을 할부 구입시 계약이 무효·취소·해제됐을 경우 쇼핑몰업체에서 하자담보책임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제시간에 상품이 배달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는 카드회사를 상대로 대금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이밖에 증거자료를 보관한다.
온라인상을 통해 이루어진 구매요청서와 접수확인번호 등은 출력해서 보관한다.
나중에 분쟁이 생겼을때 해결하는데 증거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