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1일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전액을 보장하는 우체국 예금으로 시중자금이 몰리면서 자금시장 왜곡과 기업자금난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근 우체국의 금융업무 확대로 예금상품이 다른 금융기관과 큰 차이는 없지만 파산되더라도 원리금 전액을 보장받아 고객들의 예금이 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수원우체국의 경우 지난해말까지 예금은 1천86억원이었으나 지난 9월 1천480억원으로 급증했으며 동수원우체국도 지난해 12월 464억에서 9월 620억원으로 급증하는 등 우체국 예금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서민금융기관을 비롯한 시중은행들은 우체국이 수신만 할뿐 국·공채 매입이나 공공자금관리기금 예탁 등 제한된 운영을 할 수 밖에 없어 자금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수원소재 중소기업의 한 대표는 “자금시장이 경색되면서 금융기관으로 부터 대출받기가 극히 어려운 상황에다 시중자금이 안전한 우체국으로 몰리고 있으나 대출상품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대출은 하늘의 별따기”라고 푸념했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우체국은 기업에 대한 여신기능이 없는데다 금융당국의 규제도 받지 않아 자금운용 등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예금자보호법을 받지 않아 기존 금융기관의 부실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