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주종국기자 = 전반적인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외제 가전제품이나 승용차, 골프용품, 모피 등 고급 소비재 수입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의 양극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서민층이 경기위축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반면 부유층은 이런 분위기에 아랑곳하지 않은 채 소비를 지속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우리나라의 전체 소비재 수입액은 118억17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5억380만 달러에 비해 12.4%가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가전제품이나 승용차 등 내구소비재나 모피옷 등 비교적 값이 비싼 품목의 수입은 작년 같은 기간의 2~3배나 됐으며 증가추세도 수그러들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승용차의 경우 올들어 9월까지 수입액은 1억170만 달러로 작년 1~9월의 4천510만 달러에 비해 125.5%나 늘었으며 TV는 5천220만 달러로 234.6%, VTR는 4천340만달러로 274.1%나 증가했다.
또 음향기기는 3억8천100만 달러로 74.9% 증가했고 골프용품도 8천150만 달러로40.5%가 늘었다.
모피의류 수입액도 1천90만 달러로 94.6%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승용차와 모피의류, VTR 등은 1.4분기보다는 2.4분기가, 또 2.4분기보다는 3.4분기의 수입액이 훨씬 커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는 더 가속화되는 것으로조사됐다.
이에 비해 올해 가계소비는 1.4분기 11.4%, 2.4분기 9.1% 등으로 증가율이 떨어지는 추세인데다 그 원인도 주로 내구소비재의 소비감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전체 국민의 소비증가세는 현저히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경기가 예전 같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소비도 둔화되고있으나 부유층이 주로 쓰는 외제 내구소비재 수입은 늘고 있다”면서 “소비 양극화현상이 빚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