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준 한국디지털라인 사장이 연루된 동방·대신금고 불법대출 및 로비사건은 점차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관련자인 정현준 사장과 이경자 동방금고 부회장은 특경가법상 배임 및 상호신용금고업법 위반혐의로 구속되어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으나 정계는 물론 관계, 그리고 금융감독원까지 로비의혹이 비화되면서 국민들의 의구심이 더욱 확산되어 실체규명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정현준 리스트에 의한 실체는 밝혀지고 있지 않지만 정계를 비롯하여 각계각층에 대한 광범위한 로비가 있었음이 확인되고 있다. 소위 정계 K씨를 비롯한 실세 그룹들의 관련설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는 지난 총선 전후의 선거자금 모금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의혹을 사고 있다. 이는 정치권이 관련될 수 있는 개연성을 포함하고 있어 정치부패 차원에서 조사되어야 한다. 대형금융사고만 터지면 정치인의 관련설이 항상
제기되고 있어 정치부패의 심각성이 새삼 문제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로비의혹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상호신용금고와 같은 금융기관을 감독해야 될 기관이 로비대상이 되어 무려 10억원의 로비자금이 살포되었다고 하니, 이는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금감원이 감사를 통해 동방·대신의 불법대출 사실을 밝혀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묵인한 것은 로비의혹을 더욱 강하게 증폭시키고 있다. 금감원이 금융개혁 사령탑에서 이제 검찰의 조사를 받는 개혁 대상이 되었으니,
이는 본말이 전도된 것이 아닌가. 오죽하면 금융감독원을 ‘금융강도원’이라고 비난하겠는가.
금감원은 이번 사건에 책임을 져야 된다. 현직 금감원 국장의 뇌물수수 의혹을 확인, 녹취록까지 만들고도 신병을 확보하지 않고 도피토록 한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금융감독원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더불어 금감원 자체에 대한 총체적 대수술이 있어야 된다.
이제 정현준 리스트에 대한 조사는 검찰로 넘어 갔다. 그 동안 한빛은행 부정대출 사건 등에서 검찰은 의혹을 속시원하게 해소시키지 못했다. 만약 이번에도 검찰의 조사가 납득할 수준이 되지 못한다면 검찰은 더 이상 국민들로부터 신뢰받지 못함을 명심하여 철저한 수사를 해야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