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금고의 불법대출 사태로 인해 상호신용금고의 예금인출이 늘어나는가 하면 유동성 확보를 이유로 대출을 자제하는 등 금고업계에 파장이 일고 있다.
또한 새마을금고, 지역 농축협, 산림조합 등 예금자보호 대상기관이 아닌 지역서민금융기관들은 예금자부분보장 시행에 따른 자금이동을 우려하고 있는데다 신용금고 파장으로 인한 영향을 받을까 노심초사 하고 있다.
1일 경기·인천지역 2금융권에 따르면 동방금고와 인천 대신금고의 불법대출사태로 인해 인천의 정우상호신용금고가 예금인출상황에 몰려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데 이어 인근 금고들도 예금인출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금고들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예금인출을 우려해 유동성확보차원에서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출자체를 기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고객인 자영업자,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자금난에 빠질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원의 한 신용금고 관계자는 “동방금고 사태로 인해 예금에 대한 문의가 예전보다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일부 금고는 예금인출이 급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금고마다 유동성 확보 등으로 인해 대출을 꺼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지역서민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 지역농·축협, 산림조합 등은 예금자보호대상은 아니지만 자체 안전기금을 통해 보장해준다고 대대적 홍보를 하고 있으나 자금금이동을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신용금고 사태가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로 불똥이 튀지 않을까 고심하고 있다.
신용금고 관계자들은 “한 금고의 불법으로 건전한 신용금고까지 피해를 보고 있다” 며 “고객들은 단순한 불안감으로 예금인출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