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년층의 취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수준보다도 크게 뒤져 청년층의 실업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지난 9월30일부터 10월9일까지 전국 15∼29세 학생과 비학생 남녀 9천25명을 상대로 실시한 인터넷 설문조사 결과 평균취업률(아르바이트 포함)은 47.9%였으며 실업률은 29.7%, 비경제활동인구비율은 22.4%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5∼19세의 취업률이 18.9%, 실업률은 29.3% ▲20∼24세 취업률 49.5%, 실업률 33.3% ▲25∼29세는 취업률 69%, 실업률 15%였다.
연령대별 OECD 평균 실업률은 15∼19세가 6.5%, 20∼24세 12.8%, 25∼29세가 14%에 그쳐 우리나라에 비해 크게 낮았다.
실질적인 청년실업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학생과 비경제활동인구를 제외한 비학생의 취업률은 OECD국가의 평균 취업률을 훨씬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20∼24세 청년의 24.6%만 취업을 하고 있는데 반해 OECD국가에서는 46.3%가 취업했으며 25∼29세는 한국이 62.8%, OECD국가가 68.1%, 15∼19세도 한국 3.0%, OECD국가 11.6%였다.
직능원은 한국 비학생층 청년의 취업률이 이처럼 낮은 것은 우리 청소년의 독립시기가 전통적으로 서구에 비해 늦은데다 지난 97년말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이후 경제상황이 악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