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K’는 ‘聖骨’인가?

여당의 ‘실명공개’ 과격 대응으로 모처럼 정상화된 정기국회 전망이 또 다시 불투명해지고 있다. 민주당이 ‘면책특권이용’을 비난하면서 이주영의원(한나라당)을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한 것은 논리의 전후가 맞지 않다. 국회윤리위원회에 제소한 것 역시 온당치 않으며, 제명설은 더욱 가당치 않다고 보는 것이 객관적 판단이다.

대검국감에서 질문을 통한 이의원의 실명거명은 ‘공개’라기 보단 ‘확인’의 성격이 강하다. 동방금고 불법대출사건과 관련한 정현준씨(한국디지탈라인 대표)의 사설펀드 가입의혹에 여권 실세의 ‘KKK’ 이니셜은 벌써 나돌았던 터였고 이니셜의 실체가 또 누구란 것은 이미 주지됐던 사실이다. 시중에 파다한 루머확인의 질문과정 거명은 여당 입장에선 박순용대검총장의 부인이 있었으므로 그에따른 본인들 반박으로 차단하면 그만이다. 오히려 공식으로 부정할 수 있었던 계기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도 한계를 넘은 정치적 과잉반격은 되레 사태를 악화시켜 국민들을 어리둥절케 한다. 이런 가운데 가차명 가입설과 함께 루머는 더욱 세간에 회자돼가고 있다. 가차명설은 앞으로 검찰수사가 가려낼 과제다. 정체불명의 증권가 루머가 과거에 더러 사실화하곤 했으나 이번의 경우는 사실무근이 많았던 것처럼 그러기를 바란다. 문제는 민주당의 이해하기 어려운 역정치공세다. 말 그대로 여권 실세가 아닌 경우에도

성립이 의문시되는 고소·제소같은 강도높은 역습을 마구잡이로 강행했겠는가를 생각해 본다. 민주당의 대응은 알레르기성 과민증상이 다분하다. 우연인지 몰라도 ‘3K’는 모두가 골수 동교동계다. 만약에 어떤 선민의식에 대한 훼손으로 여긴다면 실책이다.

발끈하고 들고나서는 이유가 단순히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때문이라는 표면적 구실만으로는 도시 믿기지 않는다. 성역은 그 어디에도 있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 범주에 속하는 것처럼 여겨오지 않았는가 하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 십상이다. 지도부의 깊은 사려를 촉구한다.

한나라당에도 할말은 있다. 민주당이 어떻게 하든 그를 빌미삼아 원내 의사일정과 연계시키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정기국회도 벌써 반을 넘겨 얼마 남지 않았다. 실명공개 공방의 무모한 정쟁으로 현안이 산적한 정기국회가 파국으로 치닫는 불상사가 없기를 여야에 다짐해 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